메인이미지
도시인문학 사전
모두보기모두닫기
박스하단
사전 > 도시인문학 사전
 
생태도시
  분류 : 도시의 이념과 모델
  영어 : Eco-city
  한자 : 生態都市


생태도시는 사람과 자연, 그리고 환경시설들이 조화롭게 공생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춘 도시를 의미한다. 개념적으로 생태도시는 여러 다른 유사한 개념들로 표현되기도 하는데, 자족도시(Self-sufficient city), 녹색도시(green city), 외코폴리스(Öcopolis) 등이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최근 생태도시의 연구는 미국 버클리 대학의 리차드 레지스터(Richard Register)가 주도하는 생태도시국제회의(the Ecocity International Conference Series)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레지스터는 에코시티를 “자연생태계나 살아있는 유기체와 같이 자생적이고 탄력적인 구조와 기능을 가진 생태학적으로 건강한 주거지”라고 정의하고 있다. 좁은 의미에서의 생태도시는, 도시 내의 토지, 자연생태계, 녹지, 교통, 대기, 에너지 등의 영역에서 환경 친화적인 해결방안이 도입된 도시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넓은 의미에서의 생태도시도시지역을 넘어서 국가 또는 세계 수준의 정치, 경제, 문화와 같은 사회구조적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이런 의미에서 이상화(1998: 293-311)는 생태도시 구성을 위한 규범적 조건으로, 1) 사회관계 및 자연으로부터의 소외 극복, 2) 지역의 생태적 환경에 맞춘 노동분업의 조정, 3) 계급적 지배에서 벗어나 자기결정과 자기발전을 추구하는 환경정의의 실현을 제시하고 있다.

생태도시와 관련된 비영리단체 <Urban Ecology>에서는 생태도시의 달성을 위한 구체적 실행기준을 제시하였는데, 그것을 요약하면 대체로 다음과 같다 (Roseland 1997: 197-8).

1) 탄소배출을 최대한 줄이고 에너지 재생이 가능한 생산방법을 추구한다. 교통수단의 경우, 도보, 자전거, 대중교통의 순으로 교통시스템을 설계한다. 또한 물과 에너지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쓰레기 재활용, 혁신적 기술 등의 방법을 통해 제로 쓰레기를 추구한다.

2) 자족적 경제를 추구하여 도시에서 필요한 것들은 가능하면 지역 내에서 찾는다. 이를 위하여 지역 내 농업을 지원하고 그 생산물을 소비한다.

3) 환경적으로 파손된 도시지역을 회복시킨다. 이것은 사회정의의 회복을 의미하기도 하는데, 특히 사회경제적으로 취약한 집단인 여성, 소수자, 장애인들을 위하여 더 많은 기회를 제공한다.

4) 생활양식을 단순화하여 과소비를 없애고, 시민들에게 환경 및 지속가능성 이슈를 강조하고 교육한다.

생태도시의 주창자들은 생태도시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경제적 효과가 발생한다고 주장한다. 즉, 새로운 에너지원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여러 일자리들이 창출되고, 탄소발생을 없애는 과정에서 생산성 제고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들은 또한 선진국에서 적극적으로 생태도시를 위한 기술을 개발해서 제 3세계의 가난한 도시도 적은 비용으로 생태도시를 지향할 수 있게 도와주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대표적인 생태도시로는 브라질의 쿠리치바(Curitiba), 독일의 프라이부르그(Freiburg)와 슈투트가르트(Stuttgart), 덴마크의 코펜하겐(Copenhagen), 미국의 데이비스(Davis)와 오스틴(Austin), 네덜란드의 델프트(Delft), 일본의 고베(Kobe), 스웨덴의 스톡홀름(Stockholm), 인도의 오로빌(Auroville), 호주의 아델레이드(Adelaide) 등이 있다.


<참고문헌>
이상헌. 1998. “생태도시의 이론적 구성.” 한국공간환경학회 역음. 『현대도시이론의 전환』. 한울아카데미.
한국도시연구소. 1998. 『생태도시론-한국 도시 환경문제 분석과 대안』. 박영사.
Register, Richard. 1987. Ecocity Berkeley: Building Cities for a Healthy Future. Berkeley: North Atlantic Books.
Register, Richard. 2002. Ecocities: Building Cities in Balance with Nature. Berkeley: Hills Books.
Roseland, Mark. 1997. “Dimensions of Eco-city.” Cities 14(4): 197-202

작성자: 장원호(서울시립대학교 도시사회학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