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이미지
도시인문학 사전
모두보기모두닫기
박스하단
사전 > 도시인문학 사전
 
지역사회
  분류 :
  영어 : Community
  한자 : 地域社會


지역사회는, 특히 지리적 위치를 공유하고 있을 때, 스스로를 강력하며 영속적인 유대를 지닌 것으로 인식하는 집단이다. 지역사회를 평가하는 하나의 척도는 개인들이 그 집단의 활동에 얼마나 정기적으로 참여하는가이다. 또 다른 하나는 그 집단의 인지된 사회적 유대를 가진 구성원들 간의 동일시의 강도다. 세 번째 척도는 그 집단의 영토로서 공통적으로 이해되는 특정한 물리적 공간과 위치이다. 여기서 공간은 지역사회 구성원들이 강력한 정서적 연대감을 갖게 하는 일련의 물질적 지표를 제공한다.

흔히 지역사회는 ‘애착(attachments)’의 관점에서 논의되는데, 그것은 지역사회에 속한 서로에 대한, 그리고 물리적 위치에 대한 애착이며, 지역사회에 대한 소속감이다. 이런 의미에서 ‘지역사회’라는 개념은 집단과 특정한 공간에 대한 깊은 심리적, 정서적 관계를 지칭한다.

공동체(community)라는 개념은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는 사회의 조직 단위를 정의할 때 사용되기도 한다. 소위 학교 교사들의 ‘공동체’는 한 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형태의 개념이 행정적인 형태의 특정한 구역에 연결되어 있을 때, 우리는 도시, 시골 또는 농촌의 생활단위로서 지역사회 개념을 갖게 된다. 예를 들어, 도시의 거주 구역은 거주민이 사회적 연대감과 애착을 지녔든 아니든 종종 ‘지역사회’라고 지칭된다. 미국의 지역사회 개발공사(Community Development Corporation)는 도시의 특정 구역을 기반으로 사회경제적 발전을 증진하기 위해 조직된 지역 기구이다. 또 영국에서는 ‘지역사회 방범(community policing)’이라는 용어가 지역사회 주민들과 함께 하는 방범 업무 프로그램을 의미하는 등, 지역사회의 개념과 의미는 다양하다. 2003년 영국 정부는 ‘지속가능한 지역사회 계획’을 출범하였다. 도시 정책의 관점에서 이 계획은 사회적 자본 구축, 지역 의사 결정 참여 극대화,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 제공, 지역 경제 활동과 사회적 기업 구축 등을 강조한다(Office of the Deputy Prime Minister, 2002). 프랑스에서 지역사회의 역사적 기초는 코뮌(Commune)으로, 그 숫자가 약 36만에 달한다. 코뮌들은 규모가 작기 때문에 ‘지역군(collectivités locales)’이라는 행정 단위로 묶였다. 이와 유사하게, 1980년대의 탈집중화 계획 이후 몇몇 타운과 도시도시지역사회 (communitiés urbaines)로 흡수되었다(예: 릴-루바-뚜르꽁 Lille-Roubaix-Tourcoing).

지역사회(공동체)의 개념은 1930년대 사회학자 페르디난드 퇴니스(Ferdinand Tónnies)의 연구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지역사회에 해당하는 그의 용어는 전통, 확대 가족, 종교 등이 사회적 삶을 조직화하는 촘촘히 짜인 공간 단위인 ‘게마인샤프트(Gemeinschaft)'였다. 이 개념은 비인격적이며 이차적 관계가 지배적이고 공식적인 행위규약에 의해 운영되는 ‘게젤샤프트(Gesellschaft)'에 대칭되는 개념으로 제시되었다. 루이스 워스(Lewis Wirth)는 도시생활에 특징적인 관계 유형들을 논의하기 위해 이 개념들을 활용하였다. 오늘날 퇴니스의 전통적 공동체의 개념은 현대 사회에 적용될 수 있다고 생각해 과도하게 사용되고 있는 반면, ‘공동체’ 개념 그 자체는 특정 의미가 거의 없다는 듯이 아주 느슨하게 사용되고 있다. 한 연구자에 따르면 최소한 100개 이상의 다양한 정의가 있다(Berger, 1978:8).

오늘날 일부 도시연구자들은 종종 ‘지역사회’라고 지칭되는 촘촘한 우정의 연계망이 더 이상 특정한 공간적 위치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자주 사용되는 개념은 아니지만, 이러한 ‘근접성 없는 지역사회(community without propinquity)'의 개념이 도시의 특정 구역에 느슨하게 적용될 경우 그것이 갖는 사회적(정치적이지는 않더라도) 함의가 오도될 수 있다. 많은 사람들이 이웃들과는 가장 느슨한 관계만을 형성하고 있고 반대로 가족과 친구들과는 강한 연결망을 유지하고 있고 있기 때문에, 이웃이나 친족의 유대 범위를 넘어 멀리까지 뻗어나간 성기게 짜인 연계망으로서의 지역사회 개념은 전통 사회보다는 우리 사회에 더 부합할 수 있다. 이렇게 확장된 지역사회의 정의는 본질적으로 공간적 구조가 아니라 사회적 구조를 의미한다. 현대의 도시 및 시골의 환경에서 사람들은 하나의 물리적 거주지에 속해 완전한 자격을 가진 구성원이 되기보다는, 공간 전체로 확장된 여러 가지 사회 연계망에서 각각 제한된 자격을 갖는 구성원이 되기를 바란다. 게다가 타자와의 이러한 유대가 보다 전통적이고 공간적으로 제약된 지역사회 방식의 유대에 비해 더 약한 것도 아니다.


<참고문헌>
Berger, A. 1978. The City: Urban Communities and their Problems. Dubuque, Iowa: WM. C. Brown and Co.
Graham, S. 2004. The Cyber Reader. London: Routledge.
Office of the Deputy Prime Minister (2002) www.odpm.gov.uk accessed 10 May 2004.
Putnam, R. 2003. ‘Bowling Alone: American’s Declining Social Capital’ in R. LeGates and F. Stout (eds) 2003. The City Reader, 3rd Edition. London: Routledge. pp. 105-13.
M. 고트디너와 레슬리 버드 저, 남영호, 채윤하 역, 도시인문학총서 16, <도시연구의 주요개념>(라움, 2013), pp.29-34

작성자: 신재진(서울시립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