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이미지
도시인문학 사전
모두보기모두닫기
박스하단
사전 > 도시인문학 사전
 
역사지리학
  분류 :
  영어 :
  한자 : 歷史地理學

역사시대(歷史時代)의 공간, 즉 지역공간을 연구의 대상으로 하는 지리학의 한 부문. 공간을 연구대상으로하는 일반지리학이 환경론(環境論)과 지지(地誌)로 대별되는 것처럼, 과거의 지역적 공간을 연구대상으로 하는 역사지리학도 크게 역사시대의 환경과 인간과의 관계를 연구하는 역사지리학 통론(通論), 역사시대 지역성에 대한 연구를 하는 역사지리학 특론(特論), 즉 역사지지(歷史地誌)의 2부분으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다시 지리학이 자연지리학과 인문지리학으로 구분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역사지리학도 역사시대의 자연적 환경을 연구하는 역사자연지리, 인문현상을 연구하는 역사인문지리로 구분할 수 있다. 단지 대상으로 하는 공간이 시간적으로 역사적 과거에 속한다는 것 뿐이다. 역사지리학에서는 문헌적 자료의 성질에 따라 선사지리학(先史地理學)과 협의의 역사지리학으로 구분한다. 선사지리학은 인류가 출현한이후 문명의 발달에 따라 인류가 문자(文字)의 지식을 가지게 되고, 스스로 역사를 문자로 기록한 문헌이 나타날 때까지 시대의 지역적 공간을 연구대상으로 한다. 연구자료의 성질이 주로 유물․유적에 따를 때 고고지리학(考古地理學), 문헌에 따를 때 협의의 역사지리학이라 부른다. 역사지리학은 지리학 연구법의 하나로서, 지리학의 역사적 연구법을 역사지리학이라 부르기도 한다. 그러나 역사지리학의 연구목표는 현재 및 장래의 지역구조를 이해하는 데 있다. 역사지리학의 연구대상이 되는 자료로는 문헌, 고(古)기록, 고(古)지도, 유물․유적 외에 과거의 역사를 간직한 현재의 자연․인문 등의 경관이 있다. 역사지리학을 연구하려면 먼저 과거의 역사를 간직한 현재의 자연․인문 등의 경관이 있다. 역사지리학을 연구하려면 먼저 과거의 지역적 공간을 그 당시의 상태로 복원시켜야 한다. 유물․유적과 문헌이 있는 역사지리의 연구는 비교적 용이하나 그 이전의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면, 유물․유적이 유일한 자료가 된다. 그럴 때에는 이론적으로 추정하여 현실적인 것을 유도해 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현재의 자연 및 문화경관의 분석 조사이다. 역사지리학의 연구에 언제나 야외조사가 뒤따르는 것도 바로 그러한 이유에서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지명은 역사연구의 자료로서 비교적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