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이미지
도시인문학 사전
모두보기모두닫기
박스하단
사전 > 도시인문학 사전
 
디지털 민속지학
  분류 : 디지털도시성
  영어 : Digital ethnography
  한자 :


민속지학(民俗誌學, ethnography)은 특정한 사회 안에 사는 사람들 및 그들이 공유한 문화에 대한 연구방법론을 지칭한다. 민속지학의 지향은 연구대상인 공동체적 집단이나 공간 안에 포함되기도 하고, 동시에 그것을 구성하는 역할을 하는 집합적 지역성과 구체성을 발견하고 그 의미를 해석하는 것이다(김예란:2012:463). 민속지학 방법은 인류학에서 타자의 문화를 연구하기 위해 발전되어왔지만, 사회학 등 여타의 학문 분야에서도 민속지학적 접근은 중요한 연구방법론이다(나미수, 2015:123). 이후 디지털 미디어 환경이 형성되면서 디지털 환경이 제공하는 경험으로서의 문화적 다양성과 빠른 속도성이 유발하는 사건, 이용자의 정체성과 이용행태 등은 민속지학적 탐구의 중요한 대상이 되었다(E. Gabriella Colema, 2010: 488). 디지털 민속지학(Digital ethnography)은 인터넷 민속지학(Internet ethnography), 가상 민속지학(virtual ethnography), 온라인 민속지학(online ethnography), 사이버 민속지학(cyber-ethnography) 등의 여러 용어로도 불린다. 디지털 민속지학은 온라인 공간을 단순히 현실의 반영이 아닌 담론, 취향의 실천, 그리고 정체성이 형성되는 공간으로 현실과 상호작용하는 곳으로 인식한다(조영한, 2015:353).

디지털 민속지학의 연구대상은 실체가 있는 실재적인 영역과 비가시적인 가상적 영역이 결합된 것으로서 이해된다. 시각 이미지, 음향, 음악, 동영상과 같은 다양한 양식의 기호들뿐만 아니라 구성원들의 실시간 상호작용 요소들까지도 연구대상에 포함시킨다. 기술의 발전에 따라 언어 텍스트 중심적인 인터넷 연구에 비해 다양한 기호들이 연구대상으로 대량 포섭됨에 따라 디지털 민속지학은 전통적 민속지학의 참여관찰 방법에 더 발전된 형태라고 평가된다(김예란, 2012:467-468).

 

참고문헌

김예란. 디지털 민속지학, 한국언론학회엮음(2012). 융합과 통섭:다매체환경에서의 언론학 연구방법, 나남, 2012.

나미수(2012). 미디어연구를 위한 질적방법론. 커뮤니케이션북스.

조영한. 인터넷 민속지학 설계하기: 가능성과 한계. 한국언론정보학회 (), 미디어 문화연구의 질적 방법론. 컬처룩, 2015.

E. Gabriella Colema. Ethnographic Approaches to Digital Media, Annual Review of Anthropology , 2010, Vol. 39, 2010.

작성자: 이종임(서울과학기술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