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도시인문학 사전 |
분류 : |
|
영어 : multicultural eucation |
|
한자 : 多文化敎育 |
|
서구사회에서 다문화교육 개념에 대한 가장 일반적 견해는 다문화 교육이란 “다양한 배경의 학생들이 학교에서 평등한 성취경험을 갖도록 교육의 평등, 차별 제거를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는 과정이다(Banks and Banks, 2004). 이러한 ‘개혁운동으로서의 다문화교육’은 한 사회의 문화․인종․민족․언어․종교적 다양성의 요소를 반영하는 교육제도와 가치 체계를 변화시키고 개혁하는 움직임을 강조한다. 이러한 관점에 따라 오늘날 다문화교육은 인종과 민족적 다양성 뿐 아니라 계급․성․종교․언어와 같은 다양한 집단으로 그 영역과 범위를 확대해왔다(Banks, 2004). 한편으로 다문화 교육을 일종의 철학적 관점으로 파악하는 견해도 있다. ‘개념․이념․철학’으로서 다문화교육은 개인의 정체성과 사회적 경험, 다양한 생활 방식, 개인․집단․민족적 교육기회에 있어 문화적이고 윤리적 다양성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강조하는 일련의 믿음과 설명양식을 일컫는다(Frazier, 1977, Grant, 1978). 이러한 관점에 따르면 다문화교육은 문화적 다양성의 수용과 인정, 인간의 존엄성과 보편적 인권에 대한 존중, 세계공동체에 대한 책임,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사람들에 대한 존중 등 다양한 가치 교육들을 포함한다(Bennet, 2007). 최근에는 다문화교육을 결과가 아닌 일종의 과정으로 파악하는 관점 또한 확대되고 있다. 이른바 ‘과정으로서의 다문화교육’은 교육환경의 지속적이고 영속적인 성격을 강조하며 다문화교육을 위한 장기적이고 구체적인 시간 계획과 교수학습자료의 개발이 필요함을 주장한다. 사회과, 이중언어교육, 과학교육 등으로 분절된 기존의 교육프로그램이 아니라 다문화교육에서는 간학문적 접근과정이 필요성을 제기하는 것이다(Grant, 1978). 그러나 현실에서 다문화교육은 소수 집단의 문화적 정체성만을 강조함으로써 국가 통합에 장애요인으로 작용하거나 극단적 문화상대주의를 야기함으로써 도덕적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는 우려의 대상이기도 하다. 다른 한편에서는 다문화교육이 소수 민족들의 음식이나 의복 등 피상적 문화에만 초점을 맞춤으로써 관념체계와 같은 문화의 깊은 측면을 이해하지 못하게 한다는 비판도 있다(Bennet, 2007). 특히 지금까지 한국에서 다문화교육이 주로 정부 주도하에 이주노동자나 결혼이주여성 등을 대상으로 한국 사회와 문화로의 적응을 돕는 것을 주요 목표로 이루어져 오면서, 한국의 다문화교육은 소수 집단의 문화와 정체성을 고려하는 것이라기보다는 한국 사회로의 통합을 강조하는 것이라는 한계가 지적되기도 한다(오경석 외, 2007).
<참고문헌> Banks, J. A. and Banks, C. A. M.(eds.), Handbook of Research on Multicultural Education, San Francisco, CA: Jossey-Bass, 2004. Bennett, C. I., Comprehensive Multicultura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6th edition, MA: Allyn and Bacon, 2007. Frazier, L., Multicultural facet of education, Journal of Research and Development in Education, 11, 1977. Grant, C. A., 'Education that is multicultural-Isn't that what we m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29, 1978. 오경석 외,
작성자: 한지은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