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이미지
도시인문학 사전
모두보기모두닫기
박스하단
사전 > 도시인문학 사전
 
포스트 텔레비전
  분류 : 디지털도시성
  영어 : Post-Television
  한자 :

 

로츠(Lotz, 2007)는 텔레비전 역사를 네트워크시대, ‘멀티채널시대, ‘포스트 네트워크시대 등 세시기로 구분해 설명한다. 현재는 포스트 네트워크 시대라 명명할 수 있는데, 지상파 네트워크의 힘이 줄어든 반면 시청자가 컴퓨터 스크린 혹은 이동 기기를 통해 다양한 소스의 프로그램 콘텐츠를 자기 구미에 맞게 언제 어디서나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디지털화에 따른 전송 및 이용 방식의 변화, 텔레비전 시청 플랫폼의 다양화, 텔레비전 콘텐츠를 공유하고 전유할 수 있는 네트워크 환경의 구축 등으로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볼 수 있는 방식이 다변화된 현재를 포스트 텔레비전 시대라고 설명할 수 있다. 이러한 시대구분을 가능하게 하는 기준은 미디어 기술조건인데, 각종 미디어 단말기를 통해 이용자의 필요에 따라 시공간적 구속성에서 벗어나 언제 어디서든지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다는 점이 과거의 미디어 기술 조건과의 가장 큰 차이라 할 수 있다. 텔레비전 혹은 텔레비전 프로그램이 다양한 미디어 플랫폼의 맥락 안에 놓이면서 일종의 콘텐츠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고, 다양한 미디어 기능과 연결될 수 있다는 점도 포스트 텔레비전을 설명하는 특징이다(이동후, 2012: 173).

오늘날 텔레비전의 위상과 활용가능성의 변화를 설명하는 것이 포스트텔레비전이다. 지금의 미디어 기술은 스마트폰과 디지털 기기 중심으로 활용되고 있고, 기존의 고정형 TV의 역할을 대체하게 되면서 텔레비전의 매개적 역할도 달라지게 되었다. 텔레비전은 온라인과 유튜브 플랫폼 등으로 연결되기도 하고, 수용자가 추구하는 오락과 소비, 정보의 소구를 시공간적 상황에 따라 활용할 수 있게 한다. 미디어의 기능과 역할이라는 측면에서 텔레비전은 큰 변화에 직면해있지만, 동시에 기기와 기기의 연결, 콘텐츠와 기기의 연결 등 변화하는 미디어 기술 조건에 부합하는 매개수단으로서, 환경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참고문헌

이동후, 포스트 TV시대의 텔레비전 시청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20대들과의 심층 인터뷰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통권 60, 2012.

Lotz, A. (2007). The television will be revolutionized. New York University Press.

작성자: 이종임(서울과학기술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