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이미지
도시인문학 사전
모두보기모두닫기
박스하단
사전 > 도시인문학 사전
 
포스트휴머니즘
  분류 : 포스트휴먼과 도시
  영어 : posthumanism
  한자 :

포스트휴머니즘은 기존의 인간중심적이고 인본주의적인 가정의 한계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통해 철학적 탐구의 각 분야에 다시 접근하려는 포괄적인 시도이다. 포스트휴머니즘은 근대의 위계적 사회 구성과 인간중심적 가정에 대한 비판과 새로운 주체 구성 및 관계 형성에 관심을 갖는다(Francesca Ferrando:2013:29). 이는 인간성에 대한 반성을 촉구하는 철학 및 운동으로, 그 대상을 인간에서 비인간으로 확장함으로써 종을 가로지르는 관계적, 다층적 사고를 위한 적절한 출발을 제공한다.

포스트휴머니즘이란 용어는 1977년 포스트모던 논의의 대표자인 이합 핫산(Ihab Hassan)“Prometheus as Performer: Toward a Posthumanist Culture?”에서 처음 사용하였다. 그는 서구문명의 거대한 변화가 코드, 정전(canon), 절차, 믿음 등에서 나타남을 지시하면서 이 용어를 사용하였다(Francesca Ferrando:2019:25). 포스트모더니즘 논의에서 등장한 포스트휴머니즘이란 용어는 1990년대 이후 페미니스트 문학비평과 문화연구 분야에서 언급되다가, 1990년대 말부터 좀더 철학적 논의에 초점을 맞추어 발전되었다(Francesca Ferrando:2013:29).

슈테판 헤어브레히터(Stefan Herbrechter)에 따르면 포스트휴머니즘의 여러 갈래들은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먼저, 포스트휴머니즘에는 휴머니즘이 종말에 도달했음을 부정하지는 않지만 휴머니즘을 한마디로 분류할 수 없으므로 비판적 해체의 의미에서 휴머니즘에 더 천착하는 포스트-휴머니즘(post-humanism)의 입장이 있다. 다음으로, 포스트휴먼을 긍정적 의미에서든 부정적 의미에서든 이미 하나의 가능성으로 받아들이는 입장(posthuman-ism)이 있다(Herbrechter:2013:23-24). 특히, 후자는 기술에 의해 선점되어 신문, 대중과학잡지, 미래학자 등에 의해 트랜스휴머니즘(transhumanism)으로 더 잘 알려져 있다.

앞서 두 구분 중 포스트-휴머니즘적 의미에서의 포스트휴머니즘(이하 포스트휴머니즘)의 공통된 특성으로는, 첫째, 휴머니즘에 대한 비판을 들 수 있다. 근대 휴머니즘은 인간에 대한 일반화되고 보편화된 접근을 갖는데, 포스트휴머니즘은 이를 비판하고 인간을 단수가 아닌 복수로 이해한다. 둘째, 인간중심주의에 대한 비판을 들 수 있다. 휴머니즘이 자연의 위계질서를 가정하고 그 속에서 인간 종이 존재론적 특권을 갖는 것으로 여겨왔다면, 포스트휴머니즘은 비인과의[비인간과의] 관계에서 인간을 탈중심화한다. 셋째, 이원론에 대한 비판을 들 수 있다. 휴머니즘은 닫친 정체성 관념에 의존하여 우리/타자, 친구/, 문명/야만 등을 구분한다면, 포스트휴머니즘은 이러한 고정된 정체성을 넘어서는 열려진 정체성 혹은 주체성을 모색한다(Francesca Ferrando & Rosi Braidotti:2019:54).

휴머니즘이 가정하는 보편적 인간, 인간중심주의, 이원론에 기초한 닫친 주체성의 특징을 비판하는 포스트휴머니즘의 사례로는, 로지 브라이도티(Rosi Braidotti)의 비판적 포스트휴머니즘을 들 수 있다. 브라이도티Posthuman(2013)에서 휴머니즘(Humanism)인간개념은 이상적이 아니라 모든 타자들을 평가하고 통제하는 기준의 역할을 한다고 비판한다(Rosi Braidotti:2013:26). 브라이도티는 그 대안으로 인간과 비인간을 비위계적, 횡단적으로 연결하는 존재론적 일원론과 그에 기초한 탈인간중심적 포스트휴먼 주체성을 제시한다. “나는 포스트휴먼 주체를 구성하는 요인들의 복잡성, 즉 동물과의 새로운 근접성, 지구행성적 차원과 고도의 기술적 매개를 좀더 적절히 이해하는 집단적 프로젝트를 강조한다”(Rosi Braidotti:2013:94).

 

 

 

참고자료

 

Francesca Ferrando, “Posthumanism, Transhumanism, Antihumanism, Metahumanism, and New Materialisms: Differences and Relations“, An International Journal in Philosophy, Religion, Politics, and the Arts, Vol.8, No,2, Fall 2013

Francesca Ferrando & Rosi Braidotti, Philosophical Posthumanism, Bloomsbury Publishing Plc, 2019

Rosi Braidotti, The Posthuman, John Wiley & Sons Inc, 2013(로지 브라이도티, 포스트휴먼, 이경란 옮김, 아카넷, 2015)

Stefan Herbrechter, Posthumanism: A Critical Analysis. London: Bloomsbury, 2013(슈테판 헤어브레히터, 포스트휴머니즘: 인간 이후의 - 인간에 관한 - 문화철학적 담론, 김연순, 김응준 옮김,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12)

 

작성자: 현남숙(성균관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