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이미지
도시인문학 사전
모두보기모두닫기
박스하단
사전 > 도시인문학 사전
 
브이로그
  분류 : 디지털도시와 문화적 재현
  영어 : vlog
  한자 :


옥스포드 사전에 따르면 브이로그(vlog)는 정기적으로 짧은 길이의 비디오를 게시하는 개인웹사이트 또는 소셜 미디어 계정을 의미한다. 브이로그는비디오(Video)’블로그(Blog)’를 합친 말로, 자신의 일상을 동영상으로 촬영한 콘텐츠를 유튜브, 인스타그램 등의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에 공유하는 것을 뜻한다. 브이로그의 기원은 1980년대 개인용 비디오 촬영기가 보급되기 시작한 시기로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으나, 요즘과 같은 의미의 가볍고 본격적인 브이로그는 2000년대 후반 UCC 플랫폼의 등장에서 비롯됐다고 할 수 있다(강신규, 2020:24). 브이로그는 창작자가 특별한 소재가 아닌 자신의 일상을 소재로 만든 영상물이 라는 점에서 오늘날 미디어 환경에서 독특한 위치를 점한다. 브이로그가 대중적 관심을 끌 수 있었던데엔 셀러브리티 뿐 아니라 평범한 개인들도 자신의 일상을 기록하고 공유할 수 있다는 차별성때문이다. 브이로그는 채널 운영 주체가 셀러브리티이든, 평범한 개인이든 소소한 일상을 얼마나 디테일하게 담는지, 그 디테일에 따라 인기를 얻게 된다. 또한 최근 대중문화물에서 큰 이야기보다 소소한 일상을 다룬 콘텐츠가 더 주목받는 경향도 이용자들의 미디어와 콘텐츠 활용방식에 영향을 미쳤고, 브이로그가 주목받는 이유를 설명해준다. 험프리스(Humphreys, 2018)는 데일리 브이로그가 보통 사람들이 일상의 경험을 기록하고 공유하는 문화의 전통을 아날로그 형태로부터 오늘날의 소셜 미디어에 이르는 자기 기록의 역사라고 설명한다. 브이로거들의 생산과정을 개인의 사적인 경험을 제시하거나 사회적인 경험을 주관화하여 자신의 역사로 의미화하는 실천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이다. 험프리스는 데일리 브이로그가 개인이 지닌 지식, 생각, 의견, 그리고 일상의 경험들을 소박하게 표현하고 공유함으로써 문화적인 공동체를 이루는 데 기여한다고 설명한다(김예란, 2020:163).

 

참고문헌

강신규, 커뮤니케이션 소비로서의 랜선문화:브이로그 수용과 연결개념의 확장, 한국방송학보, 346, 2020.

김예란. 플랫폼 생산자와 일상성:일상 브이로거의 삶과 노동, 한국언론정보학보, 통권 101, 2020.

마에지마 사토시 지음, 주재명 옮김, 세카이계란 무엇인가:에반게리온 이후 오타구 문화의 역사, 워크라이프, 2016.

Humphreys, L. (2018). The qualified self: Social media and the accounting of everyday life. Cambridge, MIT Press.

https://www.oed.com/search/dictionary/?scope=Entries&q=vlog

작성자: 이종임(서울과학기술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