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이미지
도시인문학 사전
모두보기모두닫기
박스하단
사전 > 도시인문학 사전
 
상호문화도시(intercultural city)
  분류 : 도시의 이념과 모델
  영어 : intercultural city
  한자 :

호문화의 상호’(inter)란 접두어가 가리키듯 그것은 문화 간의 대화와 연결을 중시하는 입장을 가리킨다. 찰스 테일러(Charles Taylor)‘multi’는 다양성에 대한 요구로, 이민자들에 대한 차별이 심하여 문화적 인정이 절대적 명제였던 시대 또는 그러한 지역의 수사학이었다면, 상호문화의 ‘inter’는 소수자들이 경제적으로 이전보다 대등해진 시대 또는 그러한 지역의 수사학이라고 말한다.(현남숙:161) 다문화가 소수 문화의 권리를 인정하는 데 초점을 맞춘 담론이지만, 다문화적 도시정책은 문화적 다수자와 소수자로 나뉜 병렬사회를 초래했고, 그 결과 문화적 소수자들이 해당 사회에서 분배 상의 차별을 당하는 결과를 초래한 것이, 상호문화 담론 및 그것을 적용한 상호문화 도시의 출발점이다.

상호문화도시라는 개념의 등장배경은 다음과 같다. “상호문화도시는 다문화주의 및 다문화정책의 개념적, 정책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제시된 것이다.상호문화도시의 개념은 사회공간적 배제가 최소한 부분적으로 문화적 동기에서 비롯된다는 가정에 바탕을 둔다. 문화적 배제는 타자를 문화적 이유(생활양식, 언어, 종교, 인종, 정체성 등)로 동등한 인권과 사회적 권리들 그리고 경제·사회·정치적 제도에 대한 동등한 접근을 거부하는데서 시작된다. 문화적 배제는 노동시장과 작업장, 이웃사회, 공적 공간, 교육과 의료보건, 기타사회적 서비스, 나아가 정치적 참여와 권력 기관 등에 대한 접근의 차별을 가져오게 된다.”(최병두:91-97)

이러한 배경 하에서 유럽연합은 상호문화도시의 지향점을 다음과 같이 언급한다. “상호문화 도시에는 국적, 출신, 언어 또는 종교/신념이 다른 사람들이 있다. 정치 지도자와 대부분의 시민들은 다양성을 자원으로 긍정적으로 간주한다. 도시는 편견과 차별에 적극적으로 맞서 싸우고 인권, 민주주의 및 법치의 원칙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다양한 인구의 요구에 맞게 거버넌스 구조, 제도 및 서비스를 조정함으로써 모두에게 평등한 기회를 보장한다. 기업, 시민 사회 및 공공 서비스 전문가와 협력하여 다문화 도시는 문화, 성별, 연령 및 기타 이에 걸친 혼합 및 상호 작용을 장려하고 모든 거주자가 사회생활에 참여하고 일상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에 참여하도록 자극하는 다양한 정책과 행동을 개발한다. 당국은 또한 도시에 이미 존재할 수 있는 모든 문화 간 관행을 강조하고 육성한다. 높은 수준의 신뢰와 사회적 결속력은 갈등과 폭력을 예방하고 정책 효과를 높이며 도시를 사람과 투자자 모두에게 매력적으로 만드는 데 도움이 된다.”(Council of Europe:2)

상호문화도시를 만들어가는 데 필요한 지침으로 우드(Wood, Phil)는 다음과 같은 핵심 영역을 제시한다. , 상호문화 도시를 만들기 위해서는 리더십, 도시 만들기(city-making), 도시 관리(city-management), 시민권 그리고 다리놓기와 뒤섞기’(bridging and mixing)의 다섯 가지 핵심 영역을 고려해야 한다. 첫째, 리더는 때로 다양성을 불편함이 아니라 이점으로 보는 초점의 시각 전환 위험을 기꺼이 감수해야 한다. 둘째, 의사결정 권한을 갖는 리더 그룹은 상호문화적 렌즈를 쓰고 도시를 만들어가야 한다. 셋째, 도시관리 면에서 그간의 행정규칙이 상호문화적 결과를 갖도록 변화시켜 나가야 한다. 넷째,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지역 사회에 소속되고 참여하는 사회적 유대를 기반으로 모든 사람의 기본권을 보장하는 글로컬 시민을 요구하고 스스로 취하도록 해야 한다. 다섯째, 상호문화 도시를 위한 개인-특히, 문화적 장벽이나 분열을 극복하는 문화의 연결자들(bridgers and mixers)-의 역할이 중요하다(Wood, Phil:322-324).

 

참고자료

최병두, 상호문화주의로의 전환과 상호문화도시 정책, 현대사회와다문화, 2014-06 4(1): 83-118

현남숙, 김영진, 다문화 사회에서 상호문화적 대화의 가능성, 한국철학사상연구회, 시대와 철학 263, 2015.

Wood, Phil. The Intercultural City: Planning for Diversity Advantage, London, Sterling, VA: Earthscan, 2008.

Council of Europe, “Intercultural Cities Key Terminology”, https://rm.coe.int/intercultural-cities-key-terminology/16809ebb5c

 

 

작성자: 현남숙(성균관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