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이미지
도시인문학 사전
모두보기모두닫기
박스하단
사전 > 도시인문학 사전
 
불평등과 빈곤
  분류 :
  영어 : Inequality and Poverty
  한자 : 不平等과 貧困


불평등 Inequality

불평등은 전형적인 도시적 현상이다. 프리드리히 엥겔스(Friedrich Engels)는 1850년대 잉글랜드 공업도시들에서 목격한 빈부 격차에 대해 기술했고, 찰스 디킨스 같은 19세기 작가들도 빅토리아 시대에 그와 똑같은 현상을 발견하고 그것을 소설로 형상화했다. 1920년대 하비 조바우(Harvey Zorbaugh)와 같은 초기 시카고학파의 연구자들은 이런 격차를 ‘황금해안과 슬럼(The Golden Coast and the Slum)’이라고 정의했다. 불평등이 복리후생의 공간적 차이에서 확연히 드러난다는 점은 진실로 옳다. 부유하지 못한 슬럼의 거주민은 그럭저럭 견디며 살지는 모른다. 그러나 대부분의 도시에서 빈곤층 근린주택지구는 부유층 근린주택지구와 도보로 닿을 만한 거리에 인접해 있어 두 지역은 한 눈에도 대조된다. 정의상 빈곤은 도시현상일 뿐만 아니라 농촌현상이기도 하다. 사실 세계적인 차원에서 빈곤은 도시 지역보다 농촌 지역에서 더 심각하다. 이러한 공간적 격차가 역사적으로도 도시화가 가진 본질적인 인구학적 요소, 즉 더 나은 생활을 찾아 농촌에서 도시로 이동하는 인구변동의 원인이었다.

불평등은 주거 분리(residential segregation)에서 분명하게 나타나며, 이것은 취학아동 교육 성취의 큰 차이로 이어진다. 도시의 학교 시스템은 중심 도시 내로 빈곤층과 소수민족 학생들이 집중되면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대도시권 전체 초중고 학생의 표준 시험 결과를 비교해보면, 백인 학생들이 흑인과 히스패닉계, 토착 미국인들(Native Americans)에 비해 평균적으로 20% 정도 높은 성적을 기록한다. 과거에는 흑인 학생들이 받는 분리의 효과에 더 관심을 두었지만, 이제는 불평등과 분리로 인해 더 불리한 상태에 처하게 된 학생들은 히스패닉계라는 사실이 분명해졌다. 1990년 이후의 자료에 따르면 퇴학률이 가장 높은 집단은 라틴계열이다. 비슷한 조건을 가진 아시아계 학생들의 중도탈락률이 주목할 만한 수준은 아니라는 점에서 이 자료는 언어장벽 이외의 다른 요인이 작용하고 있음을 말해준다. 실제로도 많은 히스패닉계의 공간적 격리는 그 자녀들이 적절한 교육을 받지 못하는 상황을 초래하며, 이는 자신의 부모가 가진 경제적으로 주변적인 처지를 재생산하는 것으로 이어진다.


빈곤 Poverty

상대적 개념인 불평등과는 달리, 빈곤은 복리의 사회적 지표들로 직접 측정될 수 있다. 빈곤은 빈국들만의 문제가 아니다. 가장 부유한 국가들에서도 상당한 수준의 빈곤이 나타난다. 1980년대 이후 빈곤 상태에 처해 있는 세계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미국의 센서스는 4인 가족의 연간 소득으로 빈곤수준을 정의하는데, 2002년도의 센서스에서는 17,463달러 이하가 빈곤층으로 간주되었다. 이 기준에 따르면, 12% 이상의 미국인들이 빈곤 상태에서 살고 있다(‘Housing Problems’ www.ruralhomes.org 2003). UN은 빈곤수준을 개발도상국의 경우 1인당 하루 소득이 1-2달러일 때로 정의한다. 2001년 약 12억 인구가 하루 1달러 미만으로 생활하고 있는데, 이는 세계 전체 인구의 약 20%(이 비율은 미국 상황과 유사함)에 해당한다. 하루 2달러 이하로 살고 있는 사람들의 숫자는 30억 명에 이르며 세계 인구의 절반에 육박한다. 빈곤은 도시지역 뿐만 아니라 농촌지역에도 존재하지만, 특정 구역에 빈곤층이 공간적으로 집중되는 것은 대도시권의 문제로 나타난다.


<참고문헌>
Body-Gendrot, S. 2000. ‘Marginalisation and Political Responses in the French Context’ in P. Hamel, H. Lustiger-Thaler and M. Mayer (eds) Urban Movements in a Globalizing World. London: Routledge. pp. 59-78.
Buck, N. 1991. ‘Social Polarisation, Economic Re-structuring and Labour Market Change in London and New York’ in M. Cross and G. Payne (eds) Social Inequality and The Enterprise Culture. London: The Falmer Press. pp. 79-101.
Davey-Smith, G., D. Dorling, R. Mitchel, et. al., 2002. ‘Health Inequalities in Britain: Continuing Increases up to the End of the 20th Century’ Journal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 56:434-5.
Department for Work and Pensions, 2002. Households Below Average Income 1994/95 to 2000/01, Corporate Document Services. London: Stationary Office.
Dorling, d. 2004. ‘Housing Wealth and Community Health: Explanations for the Spatial Polarisation of Life Chances in Britain.’
http://www.lancs.ac.uk/fss/apsocsci/hvp/projects/doring.htm accessed 15 June 2004.
Gottdiener, M. and R. Hutchison 2000. The New Urban Sociology, 2nd Edition. NY: McGraw-Hill.
‘Housing Problems’ 2003 www.rural.home.org, accessed 25 June 2003.
Jargowsky, P. 1997. Poverty and Place: Ghettos, Barrios and the American City. NY: Russell Sage Foundation.
Massey, D. and N. Denton 1993, American Apartheid.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Roberts, B. 1991 ‘Household Coping Strategies and Urban Poverty in Comparative Perspective’ in M. Gottdiener and C. Pickvance (eds) Urban Life in Transition. Newbury Park, CA: Sage Publications. pp. 135-68.
Joseph Rowntree Foundation, 1998. ‘The Incomes of Ethnic Minorities’, Findings. (Novemver). London: Joseph Rowntree
Foundation,http://www.jrf.org.uk/knowledge.findings/socialpolicy/pdf/sprn48.pdf accessed 15 June 2004
Sassen, S. 1991. Global Cities.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Small, M. and K. Newman 2001. ‘Urban Poverty After the Truly Disadvantaged’ Annual Review of Sociology 27: 23-45.
Williams, C. and J. Windebank 1995. ‘Social Polarization of Households in Contemporary Britain’ Regional Studies, 29(8): 727-32.
United Nations. 2000. Human Development Report 2000. UNDP, New York.
Wilson, W. 1987. The Truly Disadvantaged: The Inner City, the Underclass, and Public Policy.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Worldbank. 2000. World Development Report 1999/2000. NY: Oxford University Press.
M. 고트디너와 레슬리 버드 저, 남영호, 채윤하 역, 도시인문학총서 16, <도시연구의 주요개념>(라움, 2013), pp.115-128

작성자: 신재진(서울시립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