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이미지
도시인문학 사전
모두보기모두닫기
박스하단
사전 > 도시인문학 사전
 
빗장도시, 빗장공동체
  분류 : 현대도시의 양상
  영어 : Gated city, Gated community
  한자 : 빗장 都市, 빗장 共同體


빗장 공동체는
공공공간이 사유화되어 있고, 접근이 제한되는 주거 지역을 가리킨다. 여기서 공공공간이란 거리, 보도, 공원, 해변, , 오솔길, 운동장 등처럼 본래는 출입구와 담장 없이 지역의 모든 시민들에게 개방되어 있고 시민들이 공유하는 모든 자원을 말한다(Blakely and Snyder, 1997:2). 빗장 공동체는 출입구와 이를 통제하는 출입구 통제 시스템(gate control system) 그리고 단지 주변을 두르는 담장에 의해 폐쇄적인 영역성”(김석경, 2007.6:61)을 갖추고 있다. 때문에 요새’(fortress)장벽’(wall) 등의 용어로 표현되기도 한다(Blakely and Snyder, 1997; Caldeira, 2001). 빗장 도시라는 용어는 빗장 공동체만큼 널리 사용되지는 않으나, 빗장 공동체가 질적 양적으로 확산되는 현상을 가리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빗장 공동체는 기원전 300년 자신들의 숙영지와 그 근처에 성벽을 짓고 모여 살았던 로마 군인들에게서 기원을 찾을 수 있으며, 현대적인 형태의 빗장 공동체가 본격적으로 조성된 것은 19세기부터다. 블레이클리(Blakely)와 스나이더(Snyder)1885년 뉴욕 근교에 조성된 턱시도 파크가 현대적인 빗장 공동체의 시초라고 말한다. 이곳은 뉴욕에 직장을 둔 상류층을 겨냥하여 사냥과 낚시 등의 여가 활동을 할 수 있는 최고급 리조트를 개발하면서 주변에 주택을 건설한 대표적인 빗장 공동체이다. 이후 19세기부터 20세기 초에 걸쳐 조성된 빗장 공동체들은 호화로운 리조트를 중심으로 주거단지를 개발해 왔고, 이 공동체에 거주하는 입주자의 98% 이상이 백인들이었다. 이처럼 초기의 빗장 공동체는 은퇴자들의 실버타운과 최상류층의 주거단지로 제한되었으나, 1970년대에서 1990년대로 접어들면서 이들 공동체의 입주자들은 대부분 중산층으로 바뀌었다. 또한 담과 게이트의 설치가 용이하고 경비원 고용이 저렴한 아파트와 연립주택 같은 공동주택에서도 빗장 공동체가 생김에 따라 그 수는 급증하기 시작하였다(남영우, 2006:82-84).


빗장 공동체의 출현과 성장

이렇게 미국에서 빗장 공동체가 출현하고 성장하게 된 배경에는 지구화 및 신자유주의 경제 구조로의 재편과 함께, 인종적·민족적 이질성의 증대를 야기한 아시아계 및 라틴계 이민자의 급증이 있다(정헌목, 2012:38). 이러한 맥락에서 타인 예를 들어, 인종적 소수자- 을 잠재적 범죄자로 여기는 백인 중산층이 더 이상 교외에 사는 것만으로는 타인과의 공간적 분리를 충족시킬 수 없는 상황 속에서 찾은 대안이 빗장 공동체라는 것이다. 즉 빗장 공동체는 사회적 환경을 사적으로 통제하기 위한 시도이다. 블레이클리와 스나이더(Blakely and Snyder, 1997)는 빗장 공동체의 개발을 영토적 통제라는 교외 이데올로기의 논리적·진화적 진척으로 파악한다.

그러나 빗장 공동체가 범죄에 대한 두려움에서 생겨나는 것만은 아니다. 로우(Low, 2004)는 빗장 공동체 거주자들과의 인터뷰에서 범죄에 대한 두려움과 함께 경제적 불안정 및 사회적 지위에 대한 두려움 또한 발견한다. 범죄와 관련하여 사적인 빗장 공동체의 창출이 지닌 이득은 주로 상징적이다. 빗장 공동체는 빗장이 없는 유사한 교외 공동체와 비교해서 안전도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또한 빗장 공동체는 사회적 지위와 관련해서도 상징적인 방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타자와의 구별을 만들어 내는 단지 내에서의 생활이 현대 정치경제의 불확실성에 노출된 거주자들에게 자신의 지위를 확인시켜주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이처럼 사람들이 빗장 공동체를 선택하게 되는 동기는 복합적이다. 로우에 따르면 공동체의 추구, 자신의 유년기 근린의 재창출, 안전, 범죄에 대한 두려움, 타인에 대한 두려움, 질서정연함과 자산 가치의 보존, 서비스 제공, 퇴직자의 필요와 욕구 등이 빗장 공동체를 선택하는 동기로 나타난다.

그러한 이유로 빗장 공동체의 형태 또한 다양하다. 어떤 곳은 풀장과 클럽하우스처럼 모든 거주자들이 공유할 수 있는 시설을 갖추고 있는 반면 주택만 있는 곳도 있다. 어떤 곳은 큰 독립 주택만 있지만 콘도미니엄과 렌탈 타운하우스가 있는 곳도 있다. 어떤 곳은 부유한 거주자를 위한 곳이지만 어떤 곳은 중간 소득 거주자들을 위한 곳이다. 블레이클리와 스나이더는 빗장 공동체를 세 가지 형태로 분류한다. 첫째 라이프 스타일 공동체는 과시적 소비와 새로운 여가 계급의 표현이다. 은퇴자 공동체, 여가 공동체 등이 이에 해당한다. 둘째 상류층 공동체는 부유함과 신분 상승을 지향하는 지위 열망을 반영한다. 셋째 보안구역 공동체는 범죄와 외부인에 대한 두려움에 대비하는 보호장치로서 담장, 출입구, 닫힌 거리, 다양한 보안 시스템으로 상징되는 두려움의 고립구역이다.


빗장 공동체의 함의

빗장 공동체의 형태는 다양할 수 있으나 이들은 모두 타자를 대상화하는 공간적 분리에 기초하고 있다. 때문에 블레이클리와 스나이더는 빗장 공동체가 사회적 파편화와 시민성의 위축을 반영한다고 주장한다. 첫째 빗장 공동체는 사회의 구성원들 및 집단들 사이의 사회적 접촉을 제한한다. 하위 계급은 (엄청난 주택 가격 때문에) 이 주거지에서 사는 것이 어려울 뿐 아니라 심지어는 그냥 지나가는 것도 금지된다. 이러한 계급분할은 사실상 인종적 분리라고 이들은 주장한다. 상이한 계급들과 인종들 간의 이러한 사회적 접촉 및 상호작용의 상실은 사회적 계약과 상호 책임의 유대를 제한하고있다(Blakely and Snyder, 1997:139). 이것은 결국 불신, 공포, 나아가서는 시민적 유대의 약화를 낳을 수 있다. 둘째 빗장 공동체는 사적 통치 형태라는 특징을 갖는다. 빗장 공동체 내에서의 공공공간은 사적으로 제공되기 때문에 주택 소유자 협회가 거리, 공원, 여가 시설의 치안과 관리 등의 서비스에 대한 책임을 맡는다. 빗장 공동체의 부유한 구성원들은 이제 자신들에게 혜택을 주지 않는 공공 프로그램과 서비스에 대한 세금을 왜 내야하는지 묻는다. 이들은 사회의 다른 구성원들에 대한 어떤 책임감도 연대 의식도 갖지 않는데 이것이 상호성과 집합적 시민성에 기반한 민주주의와 사회에 치명적이라는 것이다. 이들은 자신들이 살고 있는 사회적 풍경에서 이탈하여 사이비 유토피아를 세운다(데이비스, 2008:158).


한국의 빗장 공동체

미국에서 시작된 빗장 공동체는 세계적으로 널리 확산되고 있다. 1990년대 초반이 지나면서 제3세계 변두리에는 외부인의 출입을 통제하는 폐쇄형 교외 주택단지가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그러나 요새화된 라이프스타일이 가장 발달한 곳은 남아프리카, 브라질, 베네수엘라, 미국 등 사회경제적 불평등이 가장 심한 대규모 도시 사회다(데이비스, 2008:152, 154).

정헌목(2012)은 초고층 주상복합아파트, 타운하우스, 대형 고급아파트 단지를 국내의 빗장 공동체 사례로 들고 있으며, 남영우·김정희(2007)는 미국의 빗장 공동체가 범죄로부터의 안전, 여가 시설의 사적 이용을 특징으로 한다면, 주상복합아파트로 대표되는 한국의 빗장 공동체는 사회적 경제적 우월감, 차별성이 주된 특징이라고 주장한다. 특히 국내의 경우, 정헌목(2012)이 지적하듯이 아파트가 대표적인 주거 양식으로 자리 잡으면서 빗장 공동체의 대표적인 특징인 단지 입구의 경비원과 출입통제 시스템이 별다른 거부감 없이 확산되는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
참고문헌>
김석경, 게이티드 커뮤니티의 단지환경적 특성 및 범죄안전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236, 2007.6.
남영우, 폐쇄적 공동체의 성립과 발달, 한국도시지리학회지, 91, 2006.
남영우·김정희,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폐쇄적 공동체의 생태와 특성 비교 미국과 한국을 중심으로,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01, 2007.
데이비스, 마이크, 김정아 옮김, 슬럼, 지구를 뒤덮다, 돌베개, 2008.
Low, Setha, Behind the Gates: Life, Security, and the Pursuit of Happiness in Fortress America, Routledge, 2004.
Blakely, Edward J., and Snyder, Mary Gail, Fortress America: Gated Communities in the United States, Washington, DC: Brookings Institution Press, 1997.
정헌목, 게이티드 커뮤니티의 공간적 특성과 사회문화적 함의 -한국의 수용양상에서의 보편성과 특수성, 서울도시연구, 131, 2012.3.
Caldeira, Teresa, City of Walls: Crime, Segregation, and Citizenship in São Paulo,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1.

작성자: 권범철(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과 박사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