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이미지
도시인문학 사전
모두보기모두닫기
박스하단
사전 > 도시인문학 사전
 
and or
인덱스목록
다문화교육
다중심 대도시권
단위제도
대중문화
대중음악
댜오쓰
데이터
데이터 액티비즘
도성
도시
도시 내 예술실천
도시 노동의 영화적 재현
도시 상상계
도시 성장 모델
도시 정치와 교외 정치
도시 폭력(액션) 영화, 폭력의 미장센 영화
도시 폭력과 범죄
도시계층
도시계획
도시공동체
도시공동체
도시권
도시빈민, 도시하층민
도시사, 도시사학, 도시역사
도시세
도시소설
도시시
도시와 교외의 사회 운동
도시위생정책
도시유형
도시의 성과 쾌락
도시체험
도시폭력과 범죄
도시행정
도시화
도시화와 도시성
도심
디지털 대상
디지털 도시 / 디지털 도시화
디지털 매체
디지털 민속지학
디지털 책무성(루치아노 플로리디의)
디지털 커먼즈
디지털 페미니즘
디지털 플랫폼 노동
디지털 네이티브
사구
사물인터넷
사이버 폭력
사이버펑크
사이보그
사이보그 정치학
사회 공간적 접근
사회공간(짐멜의)
사회지리학
산업도시
산업도시(공업도시)
산책자(발터 벤야민의)
상대적 공간
상대적 공간(라이프니츠의)
상대적 시공간(아인슈타인의)
상방촌
상호문화도시(intercultural city)
생성의 공간(들뢰즈의)
생성형 인공지능
생태도시
생활사
생활세계
샤오쯔
서울 도심의 영화적 재현
서울 주변부 도시의 재현
성황
세계박람회
소비에트 도시 계획
수도
수도권
스마트 도시
스케일
슬럼, 빈민가
슬럼과 판자촌
시공간 압축(하비의)
시뮬라크르(Simulacre)
시민
시민사회
시장
시카고학파
식민지도시
신유물론
심상지리(에드워드 사이드의)
심시티
쑬루세
16 디지털 대상 [digital objects, ]
유우 쿠이는 『디지털 대상의 실존에 대하여』¹에서 디지털적 대상이 새로운 형태의 산업적 대상(Yuk Hui, 49)이기 때문에 새로운 대상철학이 필요하다고 논증한다. 기존의 철학사적 전통에 따르면 대상은 이념이나 본질…
15 라투르 [Bruno Latour, ]
상식적-실재론적 과학관에서 자연은 과학 밖에 놓여있는 것, 과학이 탐구하여 그 비밀을 이해해 가는 것이었고, 그런 의미에서 자연은 과학적 탐구의 출발점이며 ‘원인’이었다. 그러나 라투르에 따르면 과학적 탐구 …
14 물질-기호 [material-semiotic, 物質-記號]
‘물질-기호’는 물질과 기호는 별개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동시적인 것임을 나타내기 위한 표현이다. 전통적으로 자연/문화, 인식 주체/인식 대상, 인간/비인간과 같은 일련의 범주적 이항대립이 존재해왔다면, 물질-…
13 상대적 공간(라이프니츠의) [relativer Raum(relative space), 相對的 空間]
공간이 인류 아니 존재하고 있는 모든 것들을 존재할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무엇’이라는 것은 그 누구도 부인할 수 없다. 특히 물리학과 철학에서 ‘공간’과 ‘시간’ 개념은 고대 그리스시대부터 오늘날에 이르기…
12 생성의 공간(들뢰즈의) [L‘Espace de Devenir(Space of Becoming), ]
우리가 공간에 관해 생각할 때, 흔히 물질을 담은 용기(container)나 모든 것이 변해도 변치 않은 근거와 같은 상을 떠올리기 쉽다. 그러나 들뢰즈(Gilles Deleuze)는 변화를 허용하지 않는 불변의 근거나, 미리 주어진 선험적인 …
11 스케일 [scale, ]
우리는 일상에서 “스케일이 크다/작다”는 표현을 쓴다. 여기서 스케일은 규모(規模)로 번역된다. 사전적 정의에 따르면 규모란 사물이나 현상의 크기나 범위를 의미한다. 유사하게 우리는 어떤 공간을 지칭할 때 ‘국…
10 연장 공간(데카르트의) [extended space, 延長 空間]
데카르트는 공간(spatium) 개념을 내부 장소(locus internus)라는 용어와 병치해 사용한다. 이런 데카르트의 공간 개념은 그의 실체 형이상학에서의 연장 개념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 데카르트는 개별적인 특수 사물을 구성…
9 자아의 근원적 활동으로서의 공간(피히테의) [Raum als ursprüngliche Tätigkeit des Ichs(space as original activity of I), 自我의 根源的 活動으로서의 空間]
피히테는 『근원철학에 관한 성찰』에서 공간을 1) “평면에 의해 연장된 것”(Fichte,1971:125)이라고 정의한다. 2) “공간은 채워진 것”(Fichte,1971;125)으로 규정된다. 전자에 의하면 공간은 연속성으로서 사유된 것인 반면, …
8 자연의 근원적 생산성으로서의 공간(셸링의) [Raum als ursprüngliche Produktion der Natur(space as original production of nature), 自然의 根源的 生産性으로서의 空間]
셸링에게 공간은 자연철학에 근거한다. 사변적 자연학(die spekulative Physik)으로서의 자연철학은 “자연을 자립적인 것으로서 정립한다.”(Schelling,2004:30). 자연은 그 자체로 생산적이기 때문에 능산적 자연(natura naturans)이어…
7 장소(아리스토텔레스의) [topos(place), 場所]
아리스토텔레스는 『자연학』에서 자연과 운동, 시간과 장소, 무한과 연속 등의 개념들을 주제로 다룬다. 그리고 장소 개념은 『자연학』 4권 1장~5장의 주제이다. 이 저술의 목표는 자연 세계를 체계적으로 이해하기 위…
6 장소상실, 탈장소 [placelessness, displacement , 場所喪失, 脫場所]
지리학자들이 공간개념으로서 장소를 중시하는 이유는 장소가 인간이 정서적으로 공간과 연결되는 측면을 잘 드러내기 때문이다. 현상학, 실존주의처럼 인간의 의식과 주체를 탐문하는 철학을 수용하여 장소의 특성을 …
5 직관의 순수형식으로서의 공간(칸트의) [Raum als reine Form der Anschauung(space as pure form of intuition), 直觀의 純粹形式으로서의 空間]
칸트(Immauel Kant)는 『순수 이성 비판』의 선험적 원리론(die transzendentale Elementar lehre)의 선험적 감성론(die transzendentale ästhetik)에서 공간을 “감성적 직관의 순수한 형식”(Kant,1956;B36)이면서 “아프리오리한(경험에 독립적…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