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이미지
도시인문학 사전
모두보기모두닫기
박스하단
사전 > 도시인문학 사전
 
and or
인덱스목록
다문화교육
다중심 대도시권
단위제도
대중문화
대중음악
댜오쓰
데이터
데이터 액티비즘
도성
도시
도시 내 예술실천
도시 노동의 영화적 재현
도시 상상계
도시 성장 모델
도시 정치와 교외 정치
도시 폭력(액션) 영화, 폭력의 미장센 영화
도시 폭력과 범죄
도시계층
도시계획
도시공동체
도시공동체
도시권
도시빈민, 도시하층민
도시사, 도시사학, 도시역사
도시세
도시소설
도시시
도시와 교외의 사회 운동
도시위생정책
도시유형
도시의 성과 쾌락
도시체험
도시폭력과 범죄
도시행정
도시화
도시화와 도시성
도심
디지털 대상
디지털 도시 / 디지털 도시화
디지털 매체
디지털 민속지학
디지털 책무성(루치아노 플로리디의)
디지털 커먼즈
디지털 페미니즘
디지털 플랫폼 노동
디지털 네이티브
사구
사물인터넷
사이버 폭력
사이버펑크
사이보그
사이보그 정치학
사회 공간적 접근
사회공간(짐멜의)
사회지리학
산업도시
산업도시(공업도시)
산책자(발터 벤야민의)
상대적 공간
상대적 공간(라이프니츠의)
상대적 시공간(아인슈타인의)
상방촌
상호문화도시(intercultural city)
생성의 공간(들뢰즈의)
생성형 인공지능
생태도시
생활사
생활세계
샤오쯔
서울 도심의 영화적 재현
서울 주변부 도시의 재현
성황
세계박람회
소비에트 도시 계획
수도
수도권
스마트 도시
스케일
슬럼, 빈민가
슬럼과 판자촌
시공간 압축(하비의)
시뮬라크르(Simulacre)
시민
시민사회
시장
시카고학파
식민지도시
신유물론
심상지리(에드워드 사이드의)
심시티
쑬루세
12 개미족 [Ant Tribe, 蟻族]
‘개미족’은 중국의 사회학자 롄쓰(廉思)가 처음으로 사용한 개념으로, 개미처럼 집단으로 거주하는, 고등교육을 받고, 수입이 낮은 청년들을 가리킨다. 롄쓰는 2009년에 출판한 『개미족: 대학 졸업생 쪽방촌 실록(蟻族…
11 개혁개방 이후 중국 도시문학 [Chinese 'Urban Literature' since Economic Reform, 改革開放 以後 中國 '都市文學’]
중국이 개혁개방 정책을 추진하고 자본주의 경제체제를 도입하면서, 1980년대 이후 중국문학에서 ‘도시문학’은 단연 두드러지는 흐름으로 등장하였다. 도시적 경험이 우리 삶의 방향성인 이상 ‘도시문학’이 주류적 …
10 농민공과 신노동자 [Rural Migrant Workers & New Workers, 農民工, 新工人]
중국에서 ‘농민공’(農民工)이라는 용어는 농촌 호적을 가지고 있으면서 농업에 종사하지 않고, 도시로 이주하여 노동을 하는 사람을 지칭한다. 농민공은 개혁개방 30년 동안 소유제의 다원화, 기업형태의 다양화가 진…
9 단위제도 [Unit System, 單位制度]
중국은 사회주의 시기에 계획경제 하에서 ‘도농 이원구조’를 통해 국가와 사회의 관계를 정립했으며, 도시와 농촌에 대해 서로 다른 정책을 적용하여 사회적 통제를 진행함으로써 도시를 기반으로 하는 중공업 위주…
8 댜오쓰 [Pleb/plebeian, loser, 屌絲]
‘댜오쓰(屌絲)’의 댜오(屌)는 남성의 성기를 속되게 일컫는 말이고, 쓰(絲)는 털을 뜻한다. 이러한 입에 담기 어려운 비속어가 중국 사회에서 유행어로 자리 잡게 된 연유는 다음과 같다. ‘댜오쓰’는 중국 축구 선수 …
7 사구 [Community, 社區]
사회주의 시기에 중국 도시 지역에서의 경제생활과 사회복지 및 정치적 통제는 모두 ‘단위체제’(單位體制) 안에서 이루어졌다. 즉 개혁 초기인 1980년대까지 도시지역의 주민들은 단위를 벗어나서는 생존이 힘들 정도…
6 상방촌 [Petitioners’ Village, 上訪村]
중국은 신 중국 건국 초기부터 시민들이 생활에서 문제를 겪을 때, 상급기관에 직접 문제제기를 하는 것을 권장하였다. 이를 흔히 ‘상방(上訪)’이라고 한다. 상방은 ‘신방(信訪)’이라고도 하며, ‘인민들이 편지를 …
5 샤오쯔 [Petty bourgeoisie, 小資]
1990년대 들어 중국에 다시 유행하기 시작한 ‘샤오쯔’라는 개념은 ‘소자산계급’을 줄여 쓴 것이다. ‘샤오쯔’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선 이 개념의 원류가 되는 소자산계급이 원래 중국 사회에서 어떤 의미를 지녔…
4 예술구 [Artist Village, 藝術區]
중국에서 ‘예술구’는 예술가의 작업실이 모여 있는 작가 마을이나 전시 공간으로서의 갤러리가 모여 있는 지역을 말한다. 1980년대 중국에는 현대적인 의미에서 예술구라는 것은 존재하지 않았다. 개혁개방의 물결이 …
3 중국 도시 영화 [Chinese Urban Cinema, 中國城市電影]
1978년 이후 진행된 중국의 개혁개방 정책은 기존의 농촌 중심의 사회주의 경제체제를 도시 중심의 시장 경제체제로 전환시켰다. 덩샤오핑이 제기한 “검은 고양이든 흰 고양이든 쥐만 잘 잡으면 된다”는 흑묘백묘(黑描…
2 중국의 도시시 [Chinese Urban Poems, 中國 都市詩]
도시 공간의 출현을 전제로 하는 도시시는 20세기 초반, 중국에 근대적인 도시가 점차 형성되면서 더불어 등장하였다. 하지만 상하이(上海)처럼 도시문학의 토양이 잘 갖추어진 곳은 극소수였기 때문에 중국의 현대시 연…
1 호적제도 [Household Registration System, 戶籍制度]
중국에서 현대적인 의미의 ‘호적제도’(戶籍制度)는 1949년 국가성립 이후 실시된 가장 기본적인 행정관리 제도라고 할 수 있다. 즉 국가가 전체 국민을 대상으로 출생, 사망, 친속관계, 법적지위 등 기본적인 인적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