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 |
경계 도시 영화(부심 공간 영화) [Boundary City Movie (Sub-central Area Movie) , 境界 都市映畵 (副都心 空間 映畵)]
 경계의 사전적 정의는 ‘사물이 어떠한 기준에 의하여 분간되는 한계’, ‘지역이 구분되는 한계’이다. 케빈 린치(Kevin Lynch, 1960)에 의하면 경계(Edge)는 해안이나 철로에 의해 잘린 선, 개발지의 경계, 벽 등으로 두 면들 …
|
|
9 |
도시 노동의 영화적 재현 [Labor mise-en-scène city movie, 都市 勞動 映畵]
 ‘노동(labor)’의 도시영화는 노동 공간을 배경으로 한 미장센을 보여준다. 노동은 인간 생존에 직결되는 행위로, 노동의 역사는 곧 인류의 역사를 의미한다. 자본주의가 발달하면서 노동이 비로소 사회 문제로 주목되어…
|
|
8 |
도시 폭력(액션) 영화, 폭력의 미장센 영화 [Violence Mise-en-scène City Movie/ City Action Movie, 暴力 都市 拳格 映畵 ]
 도시는 낮의 세계에서 문명의 화려함을 대변한다면 밤의 세계는 야생의 폭력성을 감추고 있다. 폭력은 ‘남을 거칠고 사납게 제압할 때에 사용하는 주먹이나 발 또는 몽둥이 따위의 수단’이다. 문명은 폭력을 순화시켜…
|
|
7 |
도시의 성과 쾌락 [Sexuality in City Movie, 性/快樂 都市 映畵]
 성적 욕망이 공식적으로 승인되는 지점이 결혼제도에 의거한 부부관계가 거의 유일하지만 한국 영화는 이들의 섹슈얼리티에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결혼 이야기>(1992, 김의석)에서 부부의 침실이 성과 쾌락이 상호 …
|
|
6 |
로컬리티 도시 영화 [Locality City Movie, 地域 都市 映畫]
 로컬(local)은 (현재 논의되고 있거나 자신이 살고 있는 특정) ‘지역의, 현지의’라는 사전적 개념으로 특정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 현지인을 의미한다. 로컬리티(locality)는 (현재 논의되고 있거나 위치해 있는 장소의) ‘…
|
|
5 |
서울 도심의 영화적 재현 [Downtown in Seoul, 漢城 都心 映畵]
 도심(downtown)은 해당 사회의 헤게모니 변화를 읽을 수 있는 공간적 지표이다. 한국의 도심 경관은 식민 지배에 의해 역사성과 장소성을 상실하면서 구축되었고, 이의 영화적 재현도 개화기 이전에 대한 집단 기억의 상실 …
|
|
4 |
서울 주변부 도시의 재현 [Town around Seoul Movie, 漢城 周邊部 都市]
 대도시 외곽에 대상(帶狀) 형태로 발생한 소규모 도시를 ‘위성도시(satellite town)’라 부른다. 이 명칭이 전근대적이라는 지적이 1960년대에 이미 나왔지만 서울과 부산 외곽에 주로 형성되었던 주변부 시가에 대한 명명의…
|
|
3 |
주변부 도시 영화(변두리 도시영화) [Surroundings City Movie (Suburb City Movie), 周邊 都市 映畫 ]
 변두리의 사전적 정의는 ‘어떤 지역의 가장자리가 되는 곳’, ‘어떤 물건의 가장자리’를 뜻한다. 문자적으로는 ‘끝’, ‘경계’, ‘사방’을 뜻하는 말로서, 국경선이나 지역 간의 경계선 및 그 주변 지역을 가리킨…
|
|
2 |
청춘의 영화적 재현 [Youth movie, 靑春 都市 映畵]
 도시는 무차별적 공간이 아니다. 도시의 특정 시설은 세대, 성, 직업, 지적 능력과 같은 기준으로 해당 장소에 적합한 인물 군(群)을 선택적으로 수용한다. 선택된 이들이 모인 장소는 자연, 구성원과 관련된 특성을 지니…
|
|
1 |
타자성 도시영화 [Otherness City Movie, 他者性 都市映畵 ]
 대도시의 거주민은 수많은 인종들로 구성된다. 다수의 인종과 소수의 인종이 동일한 공간에서 살아가다보면 중심과 주변과 같은 타자성의 문제가 제기된다. 레비나스는 타자성 개념이나 인식, 혹은 자아와 타자에게 공…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