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이미지
도시인문학 사전
모두보기모두닫기
박스하단
사전 > 도시인문학 사전
 
and or
인덱스목록
다문화교육
다중심 대도시권
단위제도
대중문화
대중음악
댜오쓰
데이터
데이터 액티비즘
도성
도시
도시 내 예술실천
도시 노동의 영화적 재현
도시 상상계
도시 성장 모델
도시 정치와 교외 정치
도시 폭력(액션) 영화, 폭력의 미장센 영화
도시 폭력과 범죄
도시계층
도시계획
도시공동체
도시공동체
도시권
도시빈민, 도시하층민
도시사, 도시사학, 도시역사
도시세
도시소설
도시시
도시와 교외의 사회 운동
도시위생정책
도시유형
도시의 성과 쾌락
도시체험
도시폭력과 범죄
도시행정
도시화
도시화와 도시성
도심
디지털 대상
디지털 도시 / 디지털 도시화
디지털 매체
디지털 민속지학
디지털 책무성(루치아노 플로리디의)
디지털 커먼즈
디지털 페미니즘
디지털 플랫폼 노동
디지털 네이티브
사구
사물인터넷
사이버 폭력
사이버펑크
사이보그
사이보그 정치학
사회 공간적 접근
사회공간(짐멜의)
사회지리학
산업도시
산업도시(공업도시)
산책자(발터 벤야민의)
상대적 공간
상대적 공간(라이프니츠의)
상대적 시공간(아인슈타인의)
상방촌
상호문화도시(intercultural city)
생성의 공간(들뢰즈의)
생성형 인공지능
생태도시
생활사
생활세계
샤오쯔
서울 도심의 영화적 재현
서울 주변부 도시의 재현
성황
세계박람회
소비에트 도시 계획
수도
수도권
스마트 도시
스케일
슬럼, 빈민가
슬럼과 판자촌
시공간 압축(하비의)
시뮬라크르(Simulacre)
시민
시민사회
시장
시카고학파
식민지도시
신유물론
심상지리(에드워드 사이드의)
심시티
쑬루세
18 기여경제(스티글레르의) [economies of contribution(by Bernard Stiegler), ]
기여 경제는 후기 자동화 사회에 인간의 노동력을 기계가 대신하는 시대의 경제에 관한 베르나르 스티글러의 용어로, 포드주의적 자동화를 포드주의와 같은 과거의 자동화와 오늘날과 같은 포스트 자동화를 구분하고, …
17 디지털 책무성(루치아노 플로리디의) [digital accountability(by Luciano Floridi), ]
‘책무성(accountability)’은 “당신이 하는 일에 대해 책임을 지고 그것에 대해 만족스러운 이유를 제시할 수 있다는 사실"로 정의된다(Cambridge Dictionary, 2022). 책무는 (1) "처리해야 할 의무가 있는 것"으로 정의되는 책임과 (…
16 브라이도티 [Braidotti, ]
로지 브라이도티(Rosi Braidotti, 1954∼ )는 이탈리아에서 태어나 오스트레일리아에서 비주류 백인 이주민으로 성장하면서 오스트레일리아 국립대학을 졸업하고(1977년), 프랑스 소르본 대학에서 철학 박사학위를 받은 후(1981…
15 사이보그 [cyborg, ]
사이보그(cyborg)는 ‘인공두뇌학적 유기체(cybernetic organism)’를 줄인 말로, 정보이론(informatics)을 통해 심적 현상을 설명하거나 물리적으로 구현하는 사이버네틱스 이론을 …
14 사이보그 정치학 [cyborg politics, ]
도나 해러웨이는 「사이보그 선언」에서 “침팬지와 인공물도 정치를 한다면 우리라고 왜 정치를 못하겠는가?”라는 위트 있는 반문을 던졌다(해러웨이 2019).…
13 신유물론 [new materialism/neo-materialism , 新唯物論]
신유물론은 과학의 통찰력을 바탕으로 모든 것의 행위자성(agency)을 강조하며 물질의 관습적 위계질서를 비판한다. 신유물론은 물질에 대한 새로운 개념을 제시하는데, 그 결과 물질이 단지 수동적이라는 생각에서 벗어…
12 쑬루세 [Chthulucene, 地中世]
쑬루세(Chthulucene)는 도나 해러웨이(Donna Haraway)가 복수종의 얽힘의 시대라는 의미로 제안한 시대명이다. 해러웨이는 인류세(Anthropocene)나 자본세(Capitalocene) 대농장세(Plantationocene) 등 여러 이름으로 불릴 수 있는 지금의 파…
11 앙코마우스™ [OncoMouse™, ]
앙코마우스™는 암을 일으키는 DNA를 이식한 채 태어난 최초의 특허를 받은 유전자 변형(transgenetic) 생물체이다(Donna Haraway:2004:273). 앙코마우스는 앙코진(oncogene)이라 는 인간에게 암을 유발하는 유전자가 이식된 실험실 쥐…
10 응답-능력(해러웨이의) [response-ability, ]
응답-능력은 신유물론적 여성주의의 맥락에서 특히 도나 해러웨이에 의해 도입된 용어로, 생태 위기 시대에 자연에 대한 인간의 일방적 책임의 한계를 지적하면서 다종간의 응답-능력을 기르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는 이…
9 인류세 [Anthropocene, 人類世]
  인류세(anthropocene)는 ‘인류’라는 의미의 ‘anthropos’와 ‘최근의’ 혹은 ‘새로운’이라는 의미를 지닌 ‘cene’이라는 단어들의 조합으로, 지질학적으로 지구의 상태가 인류에 의해 좌우되는 역사상 최근의 시기…
8 자동화 사회(스티글레르의) [automatic society(by Bernard Stiegler), ]
 ‘자동화 사회’는 베르나르 스티글러의 저서 『자동화 사회 1』 (La société automatique. Tome 1, L‘avenir du travail, 2015)의 논의 배경이자 주제를 이루는 용어로 과거의 자동화 사회와 구분되는 디지털 사회를 지칭한다. 그…
7 자연-문화(해러웨이의) [natureculture(s) / nature-cultures / natures-cultures , ]
자연문화(nature-culture)는 생물물리학적 그리고 사회적으로 형성된 생태학적 관계에서 자연과 문화의 분리불가능성을 가리키는 용어이다. 자연문화는 과학 및 인문학의 지적 전통(예를 들어, 인간/동물, 자연/문화)에 내재…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