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이미지
도시인문학 사전
모두보기모두닫기
박스하단
사전 > 도시인문학 사전
 
and or
인덱스목록
다문화교육
다중심 대도시권
단위제도
대중문화
대중음악
댜오쓰
데이터
데이터 액티비즘
도성
도시
도시 내 예술실천
도시 노동의 영화적 재현
도시 상상계
도시 성장 모델
도시 정치와 교외 정치
도시 폭력(액션) 영화, 폭력의 미장센 영화
도시 폭력과 범죄
도시계층
도시계획
도시공동체
도시공동체
도시권
도시빈민, 도시하층민
도시사, 도시사학, 도시역사
도시세
도시소설
도시시
도시와 교외의 사회 운동
도시위생정책
도시유형
도시의 성과 쾌락
도시체험
도시폭력과 범죄
도시행정
도시화
도시화와 도시성
도심
디지털 대상
디지털 도시 / 디지털 도시화
디지털 매체
디지털 민속지학
디지털 책무성(루치아노 플로리디의)
디지털 커먼즈
디지털 페미니즘
디지털 플랫폼 노동
디지털 네이티브
사구
사물인터넷
사이버 폭력
사이버펑크
사이보그
사이보그 정치학
사회 공간적 접근
사회공간(짐멜의)
사회지리학
산업도시
산업도시(공업도시)
산책자(발터 벤야민의)
상대적 공간
상대적 공간(라이프니츠의)
상대적 시공간(아인슈타인의)
상방촌
상호문화도시(intercultural city)
생성의 공간(들뢰즈의)
생성형 인공지능
생태도시
생활사
생활세계
샤오쯔
서울 도심의 영화적 재현
서울 주변부 도시의 재현
성황
세계박람회
소비에트 도시 계획
수도
수도권
스마트 도시
스케일
슬럼, 빈민가
슬럼과 판자촌
시공간 압축(하비의)
시뮬라크르(Simulacre)
시민
시민사회
시장
시카고학파
식민지도시
신유물론
심상지리(에드워드 사이드의)
심시티
쑬루세
236 난개발 [Sprawl, 亂開發]
1950년대에 교외화가 대규모 현상이 된 이래, 도시 연구자들은 미국이나 캐나다 같은 곳에서 나타나는 성장의 특징인 난개발 유형에 대해 한탄했다. 난개발은 흔히 단독주택 위주의 주거 단위가 넓은 지역에 걸쳐 상대적…
235 남성적 공간 [Masculine Space, 男性的 空間]
우리가 구성한 환경 내부의 공간들은 성차화되어(gendered) 있다(‘여성적 공간’ 항목 참조). ‘남성적 공간’이라고 하는 장소들은 남성 편향적인 활동과 권력의 표현을 용이하게 만든다. 사회의 물질적, 비물질적 특성…
234 내러톨로지 / 루돌로지 [Narratology / Ludology, 敍事學 / 遊戲學]
1990년대 들어 디지털게임이 점차 보편화되어가며 이를 뉴미디어로서 다루고자 하는 학술적 움직임들 또한 나타나기 시작했다. 1990년대 말에서 2000년대 초에 걸쳐 디지털게임을 인문학적으로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에 관…
233 노숙 [ Homelessness, 露宿]
노숙1)자란 스스로의 힘으로는 숙소를 마련할 수 없는 사람들이다. 그들은 주택을 감당할 여유가 없기 때문에 바깥이나, 거리, 출입구, 공원, 지하도 같은 공공장소에서 잠을 잔다. 노숙자가 집을 잃은 뒤 남겨진 유일한 …
232 노숙자 [Homeless, 露宿]
노숙자란 스스로의 힘으로는 숙소를 마련할 수 없는 사람들이다. 그들은 주택을 감당할 여유가 없기 때문에 바깥이나 거리, 출입구, 공원, 지하도 같은 공공장소에서 잠을 잔다. 일반적으로 선진국 도시와 개발도상국 도…
231 농민공 [migrant worker, 農民工]
農民工은 한마디로 말하면 외지에 나가 생업에 종사하는 농촌노동력을 가리킨다. 이러한 농민공의 첫 번째 특징은 그들은 여전히 농촌노동력에 속한다는 것이다. 그들은 여전히 농촌호적을 지니고 있으며, 국가가 농촌…
230 농민공과 신노동자 [Rural Migrant Workers & New Workers, 農民工, 新工人]
중국에서 ‘농민공’(農民工)이라는 용어는 농촌 호적을 가지고 있으면서 농업에 종사하지 않고, 도시로 이주하여 노동을 하는 사람을 지칭한다. 농민공은 개혁개방 30년 동안 소유제의 다원화, 기업형태의 다양화가 진…
229 뉴 어버니즘 [New Urbanism, ]
뉴 어버니즘(New Urbanism)은 교외의 무조건적 개발과 주거지구의 인클레이브(enclave)를 낳는 명목적 성장유형에 대해 반대하는 건축가와 도시계획자의 지적운동이다. 뉴 어버니스트들(New Urbanists)은 지금과 같은 성장유형을 …
228 뉴 어버니즘(신도시주의) [New Urbanisam, 新都市主義]
1980년대 미국에서 무분별한 도시확산으로 인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위한 대안으로서의 새로운 도시계획의 신조류. 신도시주의(New Urbanism)는 도시의 사회문제가 무분별한 도시의 확산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이러한 사…
227 느린 폭력 [slow violence, 느린 暴力]
느린 폭력은 극적이거나 즉각적이지 않아 비가시적이지만 점점 더 불어나고 축적되어 그 영향력이 오랜 기간 넓은 규모에 걸쳐 퍼져가는 폭력이다. 이 개념은 롭 닉슨(Rob Nixon)이 『느린 폭력과 빈자의 환경주의(Slow Violen…
226 능력주의 [meritocracy , 能力主義]
능력주의는 한 사회의 부, 권력, 명예 등과 같은 사회적 재화를 개개인이 지닌 능력(과 노력)에 따라 분배하는 게 올바르다고 보는 정의의 이념이자 그에 따른 사회체제를 나타내는 개념으로, 자본주의 사회 일반에서, 특…
225 다문화교육 [multicultural eucation, 多文化敎育]
서구사회에서 다문화교육 개념에 대한 가장 일반적 견해는 다문화 교육이란 “다양한 배경의 학생들이 학교에서 평등한 성취경험을 갖도록 교육의 평등, 차별 제거를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는 과정이다(Banks and Banks, 2004)…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