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4 |
다중심 대도시권 [Multi-centered Metropolitan Region, 多重心 大都市圈]
 고전적 의미에서 도시는 상대적으로 고밀도의 인구를 가진 중심 지역을 말하며, 도시를 지원하는 농업 생산 공간이 그 주위를 둘러싸고 있다. 이런 식의 경계를 가지는 도시 형태는 19세기 자본주의적 산업화 시기 이전…
|
|
223 |
단위제도 [Unit System, 單位制度]
 중국은 사회주의 시기에 계획경제 하에서 ‘도농 이원구조’를 통해 국가와 사회의 관계를 정립했으며, 도시와 농촌에 대해 서로 다른 정책을 적용하여 사회적 통제를 진행함으로써 도시를 기반으로 하는 중공업 위주…
|
|
222 |
대중문화 [popular culture, 大衆文化]
 대중문화(popular culture)는 ‘대중(popularis)’이라는 용어의 의미가 시대 변화와 함께 다양하게 발전함으로써 여러 학문에서 각광받는 주제가 되었다. 처음에 ‘대중’은 ‘특정 정치형태에서 정치참여가 가능한 집단’을 …
|
|
221 |
대중음악 [popular music, 大衆音樂]
 대중음악은 역사적으로 소수의 지배계층이 향유하던 예술음악이나 민간에서 오랫동안 구전되어 온 전통음악과 대비되는 개념으로서, 대중을 대상으로 대중매체를 통해 전파되는 상업성이 강한 음악양식을 통틀어 말한…
|
|
220 |
댜오쓰 [Pleb/plebeian, loser, 屌絲]
 ‘댜오쓰(屌絲)’의 댜오(屌)는 남성의 성기를 속되게 일컫는 말이고, 쓰(絲)는 털을 뜻한다. 이러한 입에 담기 어려운 비속어가 중국 사회에서 유행어로 자리 잡게 된 연유는 다음과 같다. ‘댜오쓰’는 중국 축구 선수 …
|
|
219 |
데이터 [data, ]
 데이터는 그 어원상 단순히 ‘주어진’(given) 것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하지만 사실 데이터는 그저 주어진 것이라기보다는 우리가 적극적으로 찾아내고 기록해낸 것이다. 그런 점에서 모든 데이터는 사실상 캡터(cap…
|
|
218 |
데이터 액티비즘 [Data activism , 活動主義]
 일반적으로 액티비즘은 정치적 변화를 가져올 목적으로 의도적으로 벌이는 사회적 실천을 가리킨다. 미디어 액티비즘으로부터 파생된 데이터 액티비즘은 데이터와 디지털 기술을 이용한다는 특징을 지닌다(Milan, 2017). …
|
|
217 |
도성 [capital city, 都城]
 과거 왕조국가에서 왕이 거주하던 궁궐과 행정업무를 담당하던 관서들이 밀집되어 있던 수도를 둘러싼 성을 말한다. 동아시아 도성 체제의 기원은 중국에서 비롯되었는데, 정방형의 공간에서 북쪽에는 왕의 거주지인 …
|
|
216 |
도시 [The City, 都市]
 도시는 밀도 높은 정주지이자, 상대적으로 규모가 크며 문화적으로 이질적인 인구를 가진 한정된 공간이다. 매우 느슨한 정의를 가진 미국의 센서스로는, 도시는 자치단체로 조직되어 2,500명 이상의 인구를 갖고 있는 도…
|
|
215 |
도시 내 예술실천 [Art practice in city, 都市 內 藝術實踐]
 도시 내 예술실천이 지니는 위치성과 의미에 관한 탐색에서 “예술행동주의(art activism)”에 관한 보리스 그로이스(Boris Groys)의 언급을 참고할 만하다. 그로이스에 따르면 예술행동이란 예술계 혹은 예술계가 작동하는 전…
|
|
214 |
도시 노동의 영화적 재현 [Labor mise-en-scène city movie, 都市 勞動 映畵]
 ‘노동(labor)’의 도시영화는 노동 공간을 배경으로 한 미장센을 보여준다. 노동은 인간 생존에 직결되는 행위로, 노동의 역사는 곧 인류의 역사를 의미한다. 자본주의가 발달하면서 노동이 비로소 사회 문제로 주목되어…
|
|
213 |
도시 상상계 [Urban Imaginary, ]
 ‘도시 상상계’(Urban Imaginary)는 도시 연구에서 로스앤젤레스 학파를 대표하는 에드워드 소자(Edward W. Soja)가 『제3공간』(Thirdspace), 『포스트메트로폴리스』(Postmetropolis) 등의 저술에서 제시하고 있는 개념이다. 철학과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