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2 |
도시 성장 모델 [Models of Urban Growth, ]
버지스 모델 - 동심원적 지대들 Burgess Model - Concentric Zones에른스트 버지스(Ernest Burgess)는 1930년대에 사회 진화론 즉 생물학적으로 도출된 원리들에 기초한 도시 성장 및 차별화 이론을 개발했는데 이는 로버트 파크(Robert Pa…
|
|
211 |
도시 정치와 교외 정치 [Urban Politics and Suburban Politics, 都市 政治와 郊外 政治]
1960년대 이전 시 정부는 막강했다. 자본과 토지자원의 통제를 통해 돈을 버는 사람들과 더불어, 공무원에 대한 통제와 정부의 의사결정권은 부를 획득하는 또 다른 수단이었다. 지방 정부의 관료들은 세금을 매기거나 토…
|
|
210 |
도시 폭력(액션) 영화, 폭력의 미장센 영화 [Violence Mise-en-scène City Movie/ City Action Movie, 暴力 都市 拳格 映畵 ]
도시는 낮의 세계에서 문명의 화려함을 대변한다면 밤의 세계는 야생의 폭력성을 감추고 있다. 폭력은 ‘남을 거칠고 사납게 제압할 때에 사용하는 주먹이나 발 또는 몽둥이 따위의 수단’이다. 문명은 폭력을 순화시켜…
|
|
209 |
도시 폭력과 범죄 [Urban Violence and Crime, 都市 暴力과 犯罪]
범죄라고 하면 사람들은 대개 도시를 괴롭히는 폭력 범죄, 특히 돌발적인 거리 범죄와 같은 폭력의 발생을 떠올린다. 1960년대부터 1990년대 초까지 미국 도시 지역에서는 절도, 강도, 갱과 관련된 총격 같은 폭력 행위들이…
|
|
208 |
도시계층 [urban hierarchy, 都市階層]
재화와 용역을 공급하는 중심지 기능을 가지고 있는 도시들 사이에도 기능 수행의 정도에 따라 위계가 발생한다는 이론이다. 독일의 도시계획가 Walter Christaller는 도시의 공간구성 형태를 분석하면서 보다 넓은 지역에서…
|
|
207 |
도시계획 [city planning, 都市計劃]
도시계획은 대상이 되는 도시의 도시기능에 대한 정책결정과 이의 집행을 위한 세부계획을 포함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도시기능의 설정과 도시기능이 원활히 수행될 수 있도록 도시의 규모나 형태, 토지이용, 시스…
|
|
206 |
도시공동체 [urban community, 都市共同體]
공동체 개념은 아주 느슨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100개 이상의 다양한 정의가 내려지는 개념이다. 공동체 개념의 하위 범주인 도시공동체를 개념화할 때 참조해야 할 주요한 정의는 1930년대 독일 사회학자 퇴니스에 의한 …
|
|
205 |
도시공동체 [city community, 都市共同體 ]
공동체란 그 구성원들 간 심정적, 정신적 일체감 또는 이해관계의 동질성에 근거하여 자발적으로 조직된 소집단이라 할 수 있다. 즉 공동체란 인간의 생물적, 사회적 기본 필요의 충족을 위한 가장 기본적인 단위로서 지…
|
|
204 |
도시권 [Right to the City /Droit à la ville , 都市權]
‘도시권’은 앙리 르페브르(Henri Lefebvre)의 도시론을 대표하는 개념으로, 1967년 저작인 『도시에 대한 권리(droit à la ville)』에서 처음으로 제출되었다.르페브르의 도시론은 자본주의가 도시의 일상생활을 근본적으로 변…
|
|
203 |
도시빈민, 도시하층민 [urban poor, 都市貧民, 都市下層民, ]
도시의 불안정취업층으로서 가계소득이 낮아 빈곤한 가구를 지칭한다. 도시빈민을 정의하는 방식은 제도적 접근, 소득에 따른 접근, 부문론적 접근, 정치경제학적 접근으로 나눌 수 있다. 우선 제도적 접근방법은 절대…
|
|
202 |
도시사, 도시사학, 도시역사 [urban history, 都市史]
도시사(Urban History)는 19세기 급격한 산업화와 도시화가 낳은 사회적 문화적 구조 변동과 이것이 인간 삶에 미친 변화를 설명하는 도시적 특성(Urbanity)이란 개념이 일반화되기 시작한 20세기 초 이후에 등장한다. 20세기 중…
|
|
201 |
도시세 [urbicene/urbanocene , 都市世]
인류세는 폭발적인 인구증가, 도시화, 에너지 사용으로 인해 인류가 지구시스템에 상당한 영향(이산화탄소 농도 증가, 오존층 파괴 등)을 미치는 결정적 요인이 되었음을 가리키는 새로운 지질시대로서 제안되었다(최명…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