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8 |
디지털 대상 [digital objects, ]
유우 쿠이는 『디지털 대상의 실존에 대하여』¹에서 디지털적 대상이 새로운 형태의 산업적 대상(Yuk Hui, 49)이기 때문에 새로운 대상철학이 필요하다고 논증한다. 기존의 철학사적 전통에 따르면 대상은 이념이나 본질…
|
|
187 |
디지털 도시 / 디지털 도시화 [Digital City / Digital Urbanization, ]
20세기 후반부터 발전하기 시작한 컴퓨터, 전자통신, 미디어 기술이 하나로 수렴되면서 기술발전 속도가 더욱 빨라지고 있다. 이 기술들의 수렴을 이끈 것이 바로 디지털화(digitalisation)이다. 디지털 전도사인 네그로폰테…
|
|
186 |
디지털 매체 [Digital Media, ]
정보를 전달하는 수단이라는 기능적 측면에서 보자면 디지털 매체는 예전의 매체(아날로그 매체)와 크게 다르지 않다. 디지털 매체와 아날로그 매체의 근본적인 차이는 정보를 생산하거나 저장 혹은 기록하는 형식에 있…
|
|
185 |
디지털 민속지학 [Digital ethnography, ]
민속지학(民俗誌學, ethnography)은 특정한 사회 안에 사는 사람들 및 그들이 공유한 문화에 대한 연구방법론을 지칭한다. 민속지학의 지향은 연구대상인 공동체적 집단이나 공간 안에 포함되기도 하고, 동시에 그것을 구성…
|
|
184 |
디지털 책무성(루치아노 플로리디의) [digital accountability(by Luciano Floridi), ]
‘책무성(accountability)’은 “당신이 하는 일에 대해 책임을 지고 그것에 대해 만족스러운 이유를 제시할 수 있다는 사실"로 정의된다(Cambridge Dictionary, 2022). 책무는 (1) "처리해야 할 의무가 있는 것"으로 정의되는 책임과 (…
|
|
183 |
디지털 커먼즈 [digital commons, ]
커먼즈는 ‘함께’라는 의미의 ‘com’과 의무를 진다 라는 뜻의 ‘unis’가 어우러진 말이다. 커먼즈는 단순히 원시의 물리적 장소 혹은 텅 빈 주인 없는 것이라기보다는 이미 그곳에 특정구성원들의 사회적 관계가 존재…
|
|
182 |
디지털 페미니즘 [digital feminism, ]
여성해방에 대한 이론이자 실천으로서의 페미니즘은 그것이 촉발하고 매개하는 지역, 시기, 관점, 운동 방식, 해방 전략 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다. 디지털 페미니즘은 인터넷과 스마트폰을 매개로 디지털 세계에서 …
|
|
181 |
디지털 플랫폼 노동 [ Platform work, ]
산업구조 변화와 함께 기술발전은 디지털경제로의 전환을 촉진하고 있다. 특히 플랫폼경제는 ‘개발–공급-이동–판매-서비스’라는 가치사슬 과정에서 나타나는 거래비용 축소를 목표로 한다. 플랫폼기업은 생산성 …
|
|
180 |
디지털 네이티브 [Digital Native, ]
디지털 네이티브는 컴퓨터, 비디오 게임 및 인터넷과 같은 디지털 미디어를 마치 모국어처럼 편안하고 자유롭게 사용하는 세대를 지칭하는 개념으로 미국…
|
|
179 |
라깡 [J. Lacan, ]
프랑스의 현대사상 형성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 정신분석가이며 사상가다. 그는 직접적으로 도시를 연구대상으로 삼지는 않았지만, 공간 개념에는 많은 관심을 가졌다. 슈테판 귄첼은 오늘날은 ‘공간적 선회“가 아니…
|
|
178 |
라투르 [Bruno Latour, ]
상식적-실재론적 과학관에서 자연은 과학 밖에 놓여있는 것, 과학이 탐구하여 그 비밀을 이해해 가는 것이었고, 그런 의미에서 자연은 과학적 탐구의 출발점이며 ‘원인’이었다. 그러나 라투르에 따르면 과학적 탐구 …
|
|
177 |
로마 포룸 [Roman Forum; Forum, Forum Romanum; Forum Magnum; Forum]
로마 포룸은 도시 로마의 한복판, 카피톨리누스 언덕(Collis Capitolinus)과 팔라티움 언덕(Collis Palatium) 사이의 계곡지역에 위치한 장방형 광장으로, 기원전 7세기 말 도시를 가로지르는 하수로, 크로아카 막시마(Cloaca Maxima)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