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이미지
도시인문학 사전
모두보기모두닫기
박스하단
사전 > 도시인문학 사전
 
and or
인덱스목록
다문화교육
다중심 대도시권
단위제도
대중문화
대중음악
댜오쓰
데이터
데이터 액티비즘
도성
도시
도시 내 예술실천
도시 노동의 영화적 재현
도시 상상계
도시 성장 모델
도시 정치와 교외 정치
도시 폭력(액션) 영화, 폭력의 미장센 영화
도시 폭력과 범죄
도시계층
도시계획
도시공동체
도시공동체
도시권
도시빈민, 도시하층민
도시사, 도시사학, 도시역사
도시세
도시소설
도시시
도시와 교외의 사회 운동
도시위생정책
도시유형
도시의 성과 쾌락
도시체험
도시폭력과 범죄
도시행정
도시화
도시화와 도시성
도심
디지털 대상
디지털 도시 / 디지털 도시화
디지털 매체
디지털 민속지학
디지털 책무성(루치아노 플로리디의)
디지털 커먼즈
디지털 페미니즘
디지털 플랫폼 노동
디지털 네이티브
사구
사물인터넷
사이버 폭력
사이버펑크
사이보그
사이보그 정치학
사회 공간적 접근
사회공간(짐멜의)
사회지리학
산업도시
산업도시(공업도시)
산책자(발터 벤야민의)
상대적 공간
상대적 공간(라이프니츠의)
상대적 시공간(아인슈타인의)
상방촌
상호문화도시(intercultural city)
생성의 공간(들뢰즈의)
생성형 인공지능
생태도시
생활사
생활세계
샤오쯔
서울 도심의 영화적 재현
서울 주변부 도시의 재현
성황
세계박람회
소비에트 도시 계획
수도
수도권
스마트 도시
스케일
슬럼, 빈민가
슬럼과 판자촌
시공간 압축(하비의)
시뮬라크르(Simulacre)
시민
시민사회
시장
시카고학파
식민지도시
신유물론
심상지리(에드워드 사이드의)
심시티
쑬루세
176 로컬리티 도시 영화 [Locality City Movie, 地域 都市 映畫]
로컬(local)은 (현재 논의되고 있거나 자신이 살고 있는 특정) ‘지역의, 현지의’라는 사전적 개념으로 특정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 현지인을 의미한다. 로컬리티(locality)는 (현재 논의되고 있거나 위치해 있는 장소의) ‘…
175 머신러닝 [Machine Learning, ]
 기계학습으로 번역되는 머신러닝은 기계가 스스로 데이터 내에 존재하는 어떤 규칙을 찾아내는 것을 의미한다. 대용량의 데이터가 주어졌을 때 데이터의 속성들이 갖는 패턴이나 일반화할 수 있는 요소들을 기계 …
174 메타버스 [Metaverse, ]
초월을 의미하는 ‘meta’와 우주를 뜻하는 ‘universe’의 혼합어이다. 현실을 초월한 디지털 세계, 혹은 현실과 가상의 구분을 초월한 혼합 현실(Mixed Reality)의 세계를 일컫는 말로 현재 통용되고 있다 (김상균, 2020). ‘현…
173 멜빌과 뉴욕 [Herman Melville and New York City , ]
멜빌(Herman Melville)은 각각 19세기 미국문학을 대표하는 장편소설과 단편소설인 『모비딕』(Moby Dick)과 「필경사 바틀비」(“Bartleby, the Scrivener”)의 저자로 널리 알려져 있다. 하지만 그의 작가로서의 경력과 대표작들의 …
172 모더 [Modder, 改裝玩家]
모드MOD란 Modification의 약자에서 시작된 단어로, 디지털게임 소프트웨어의 데이터를 수정해 게임의 규칙을 변화시키거나 부가적인 이야기를 추가시키고, 혹은 새로운 규칙의 게임을 만들어내기도 하는 등의 활동을 총칭…
171 모더니즘 [modernism, ]
모더니즘은 1920년대 일어난 근대적인 감각을 나타내는 예술상의 여러 경향을 나타낸다. 넓은 의미로는 교회의 권위 또는 봉건성을 비판하며 과학이나 합리성을 중시하고 널리 근대화를 지향하는 것을 말하지만, 좁은 의…
170 무니키피움 [municipality, municipium (pl. municipia)]
‘무니키피움(municipium)’은 도시를 지칭하는 다양한 라틴어 표현들(civitas, municipium, colonia, etc.) 가운데 하나이다. 로마는 제각기 고유한 행정 및 사법 제도 하에 자치하는 다양한 성격과 위상의 도시들을 제국 통치와 속…
169 문화도시 [Cultural City, 文化都市]
문화도시란 문화를 중요한 도시발전의 원리, 원칙, 축으로 하는 도시를 말한다. 본디 이 말은, 알려진 바와 같이, 1985년 「유럽각료회의」에서 그리스 문화부 장관이자 영화배우였던 멜리나 메리쿠리(Melina Mericuri)가 '문…
168 문화지리학 [cultural geography, 文化地理學]
문화지리학(cutural geography)은 인간활동을 공간­지리적으로 다루는 인문지리학의 한 분야이다. 인간 활동은 크게 정치적 활동, 경제적 활동, 사회적 활동, 문화적 활동으로 나뉜다. 그리고 인간의 문화적 활동을 공간­…
167 물질-기호 [material-semiotic, 物質-記號]
‘물질-기호’는 물질과 기호는 별개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동시적인 것임을 나타내기 위한 표현이다. 전통적으로 자연/문화, 인식 주체/인식 대상, 인간/비인간과 같은 일련의 범주적 이항대립이 존재해왔다면, 물질-…
166 미시사 [microhistory, 微示史]
20세기 서양 사학계의 가장 주요한 특징 중 하나는 거대 이론에 근거한 역사 인식과 저술이다. 그러나 1970년대에 들어서, 과연 이러한 관점이 역사적 리얼리티의 다양성과 복잡성을 이해하는 데 적절하고도 충분한 방법…
165 [meme, ]
밈(meme)은 인터넷이나 SNS에서 확산되는 창작물과 작품의 요소 혹은 문화의 유행과 파생, 모방의 경향을 지칭하는데, 인터넷 밈(internet memes)이라고도 불린다. 밈은 오늘날 인터넷 문화를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한 현상이다.…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