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 |
가상현실 [Virtual Reality, 假想現實]
 가상현실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만들어 낸 3차원의 가상 공간을 사용자가 실제처럼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일컫는다. 사용자는 HMD (Head Mounted Display)를 머리에 쓰고 눈 앞의 화면에 펼쳐지는 3차원의 가상 공간을 체…
|
|
28 |
거대언어모델 [LLM, ]
 거대언어모델은 자연어 처리 기술에 딥러닝 기술을 접목하여 대규모의 텍스트를 사전에 학습함으로써 무수히 많은 문장의 문맥 정보를 모델에 반영해 정확도를 높이는 언어 모델을 뜻한다. 근본적으로 자연어처리…
|
|
27 |
기술의 편향 [bias, ]
 편향(bias)라는 단어는 서구사회에서 14세기 기하학에서 사선이나 대각선을 가리키는 데 처음 사용된 것으로 나타나며 16세기에 이르러 ‘부당한 선입견’이라는 의미를 내포하기 시작했으며, 1990년 이후 통계학에서 …
|
|
26 |
데이터 [data, ]
 데이터는 그 어원상 단순히 ‘주어진’(given) 것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하지만 사실 데이터는 그저 주어진 것이라기보다는 우리가 적극적으로 찾아내고 기록해낸 것이다. 그런 점에서 모든 데이터는 사실상 캡터(cap…
|
|
25 |
디지털 도시 / 디지털 도시화 [Digital City / Digital Urbanization, ]
 20세기 후반부터 발전하기 시작한 컴퓨터, 전자통신, 미디어 기술이 하나로 수렴되면서 기술발전 속도가 더욱 빨라지고 있다. 이 기술들의 수렴을 이끈 것이 바로 디지털화(digitalisation)이다. 디지털 전도사인 네그로폰테…
|
|
24 |
디지털 매체 [Digital Media, ]
 정보를 전달하는 수단이라는 기능적 측면에서 보자면 디지털 매체는 예전의 매체(아날로그 매체)와 크게 다르지 않다. 디지털 매체와 아날로그 매체의 근본적인 차이는 정보를 생산하거나 저장 혹은 기록하는 형식에 있…
|
|
23 |
디지털 민속지학 [Digital ethnography, ]
 민속지학(民俗誌學, ethnography)은 특정한 사회 안에 사는 사람들 및 그들이 공유한 문화에 대한 연구방법론을 지칭한다. 민속지학의 지향은 연구대상인 공동체적 집단이나 공간 안에 포함되기도 하고, 동시에 그것을 구성…
|
|
22 |
디지털 커먼즈 [digital commons, ]
 커먼즈는 ‘함께’라는 의미의 ‘com’과 의무를 진다 라는 뜻의 ‘unis’가 어우러진 말이다. 커먼즈는 단순히 원시의 물리적 장소 혹은 텅 빈 주인 없는 것이라기보다는 이미 그곳에 특정구성원들의 사회적 관계가 존재…
|
|
21 |
디지털 플랫폼 노동 [ Platform work, ]
 산업구조 변화와 함께 기술발전은 디지털경제로의 전환을 촉진하고 있다. 특히 플랫폼경제는 ‘개발–공급-이동–판매-서비스’라는 가치사슬 과정에서 나타나는 거래비용 축소를 목표로 한다. 플랫폼기업은 생산성 …
|
|
20 |
디지털 네이티브 [Digital Native, ]
 디지털 네이티브는 컴퓨터, 비디오 게임 및 인터넷과 같은 디지털 미디어를 마치 모국어처럼 편안하고 자유롭게 사용하는 세대를 지칭하는 개념으로 미국…
|
|
19 |
머신러닝 [Machine Learning, ]
 기계학습으로 번역되는 머신러닝은 기계가 스스로 데이터 내에 존재하는 어떤 규칙을 찾아내는 것을 의미한다. 대용량의 데이터가 주어졌을 때 데이터의 속성들이 갖는 패턴이나 일반화할 수 있는 요소들을 기계 …
|
|
18 |
메타버스 [Metaverse, ]
 초월을 의미하는 ‘meta’와 우주를 뜻하는 ‘universe’의 혼합어이다. 현실을 초월한 디지털 세계, 혹은 현실과 가상의 구분을 초월한 혼합 현실(Mixed Reality)의 세계를 일컫는 말로 현재 통용되고 있다 (김상균, 2020). ‘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