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이미지
도시인문학 사전
모두보기모두닫기
박스하단
사전 > 도시인문학 사전
 
and or
인덱스목록
다문화교육
다자연주의(카스트루의)
다종 간 환경정의(도나 해러웨이의)
다종 도시
다중심 대도시권
단위제도
대중문화
대중음악
댜오쓰
데이터
데이터 노동
데이터 액티비즘
도성
도시
도시 내 예술실천
도시 노동의 영화적 재현
도시 마을
도시 상상계
도시 성장 모델
도시 예외주의
도시 정치와 교외 정치
도시 폭력(액션) 영화, 폭력의 미장센 영화
도시 폭력과 범죄
도시계층
도시계획
도시공동체
도시공동체
도시권
도시빈민, 도시하층민
도시사, 도시사학, 도시역사
도시세
도시소설
도시시
도시와 교외의 사회 운동
도시위생정책
도시유형
도시의 성과 쾌락
도시체험
도시폭력과 범죄
도시행정
도시화
도시화와 도시성
도심
동물정의(마사 너스바움의)
동일화 양식(데스콜라의)
디지털 대상
디지털 도시 / 디지털 도시화
디지털 매체
디지털 민속지학
디지털 책무성(루치아노 플로리디의)
디지털 커먼즈
디지털 페미니즘
디지털 플랫폼 노동
디지털 네이티브
사구
사물인터넷
사이버 폭력
사이버펑크
사이보그
사이보그 정치학
사회 공간적 접근
사회공간(짐멜의)
사회지리학
산업도시
산업도시(공업도시)
산책자(발터 벤야민의)
상대적 공간
상대적 공간(라이프니츠의)
상대적 시공간(아인슈타인의)
상방촌
상호문화도시(intercultural city)
새로운 애니미즘(데이비드 하비의)
생명의 인류학(팀 잉골드의)
생성의 공간(들뢰즈의)
생성형 인공지능
생태도시
생활사
생활세계
샤오쯔
서울 도심의 영화적 재현
서울 주변부 도시의 재현
성황
세계박람회
소비에트 도시 계획
솔라스탤지어(글렌 알브레히트의)
수도
수도권
스마트 도시
스케일
슬럼, 빈민가
슬럼과 판자촌
시공간 압축(하비의)
시뮬라크르(Simulacre)
시민
시민사회
시장
시카고학파
식민지도시
신유물론
심상지리(에드워드 사이드의)
심시티
쑬루세
자기기록
자동화 사회(스티글레르의)
자아의 근원적 활동으로서의 공간(피히테의)
자연-문화(해러웨이의)
자연의 근원적 생산성으로서의 공간(셸링의)
장과 상징공간(부르디외의)
장소(아리스토텔레스의)
장소상실, 탈장소
장애 사이보그
재난 유토피아
재매개
재정 위기
절대적 공간
절대적 공간(뉴턴의)
정보 도시
정보권(플로리디의)
정보적 유기체(플로리디의)
젠트리피케이션과 예술
조계지, 조차지
조이스와 블룸스데이
주변부 도시 영화(변두리 도시영화)
주택
주폴리스(수 도널드슨과 윌 킴리카의)
중국 도시 영화
중국의 도시시
증강현실
지구화
지방사, 지역사, 지역학
지방화
지속가능한 도시화
지역사회
지역사회
직관의 순수형식으로서의 공간(칸트의)
집단지성
290 계획-도시, 교외, 대도시권 [Planning - Cities, Suburbs, Metropolitan Regions, ]
도시는 초창기에는 대체로 도로 체계와 토지이용이 극도로 무질서하기 마련이다. 상가나 주택이나 그 위치는 어디가 되었든 소유자가 결정하는 대로 자리를 잡았다. 하지만 고전 문명들은 계획의 형태를 취했다. 도시의…
289 고전기 아테네 [Athens, Ἀθη̃ναι]
고전기 아테네(기원전 508-322년)는 발칸반도 중부에 위치한 해안 도시국가로서 고전기동안 델로스 동맹의 맹주로 펠로폰네소스 동맹의 맹주 스파르타와 경쟁관계를 이루었다. 아크로폴리스가 있는 중심부를 아테네시 그…
288 골목, 후퉁 [alley, back street, 胡同]
일반적으로 주택가 사이사이의 길을 말하며, 규모가 작은 통로를 통칭하기도 한다. 지금의 도시개발(재개발, 뉴타운 등) 같은 정비사업의 결과로 생겨난 인위적인 도로 및 통로는 장소의 효율성에 중점을 두면서 표준화…
287 공간과 장소 [space and place, 空間과 場所]
공간(space)과 장소(place)는 도시를 이해하는 데 핵심적인 개념이다. 이 두 개념은 학문 분야를 막론하고 오랫동안 논쟁의 대상이 되어왔는데, 일부 학자들은 이 두 개념을 중첩되거나 동일한 것으로 간주하기도 하지만, 일…
286 공공디자인 [Public Design, ]
인간이 공동생활을 시작하여 일정한 장소에 정착함에 따라 다른 사람과 공유하는 다양한 목적의 공간들이 생겨나기 시작했다. 문명의 발달과 함께 도시화가 진행되고, 기능이 한층 분화된 다세포 사회가 발생되면서 공…
285 공공미술 [Public Art, 公共美術]
존 윌렛(John Willett)은 그의 저서, 『도시 속의 미술(Art in a City)』(1967/2007)에서 공공미술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했다. 이후 공적 장소에 설치되는 예술작품을 일컬어 공공미술로 통칭하고 있는데 현재 공공미술의 개념은 …
284 공동체 도시 [Community City, 共同體 都市]
오늘날 도시와 공동체는 쉽게 양립하기 어려울 것 같은 느낌을 주는 단어들이다. 하지만 고대 유럽 정치사상의 출발점에서 도시는 가장 포괄적이며 자족적인 공동체로 규정되었다.아리스토텔레스는 고대 헬라스 지역의…
283 공유 도시 [Sharing City, 共有都市]
공유 도시는 2012년 공유(共有) 개념을 통해 서울시의 사회경제적 문제를 해결하고 공동체성을 복원하는 것을 목표로 서울시가 ‘공유도시 서울’ 선언하면서 주목을 받기 시작한 개념이다. 서울시는 공유 도시를 “시민…
282 공정 도시론 [Urban Justice , 公正 都市論 ]
‘공정 도시’에 대한 논의는 공정성에 대한 담론 및 공정성과 도시와의 관계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존 롤스의 『공정으로서의 정의』에서는 사회 안에서 권리와 의무를 배분하고 사회적 협력으로 인해 생성된 이익을 …
281 과잉도시화 - 종주도시 [Overurbanization – The Primate City, ]
유럽과 미국 같은 선진 산업국가들은 오랜 기간에 걸쳐 도시화되었다. 그 속에서 농업 지역은 상대적으로 안정되어 있었고, 조율된 속도로 도시개발이 이루어졌다. 모든 나라들에는 대도시들이 존재하는 한편, 도시화의…
280 관계적 공간(마르티나 뢰브의) [Relationaler Raum(Relational Space), 關係的 空間]
마르티나 뢰브(Martina Löw)는 『공간사회학(Raumsoziologie)』에서 그 동안 제대로 다뤄지지 않던 사회적 차원의 공간적 계기들, 가령 도시, 신체, 환경 등을 주제화하면서 공간 이해의 문제를 사회적인 것으로 새롭게 드러내…
279 관계적 인식론(누릿 버드 데이빗의) [relational epistemology, ]
누릿 버드-데이빗(Nurit Bird‑David)은 1951년 이스라엘에서 태어났다. 히브리 대학에서 경제학과 수학을 전공하였으며 1983년 케임브리지 대학에서 사회인류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버드-데이빗은 1978년 남인도 산림에 거…
 
 
 1  2  3  4  5  6  7  8  9  10